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동방인어] 철면피(鐵面皮)와 파렴치(破廉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주경제


▶역발산(力拔山) 항우가 사면초가에 몰렸지만, 아직은 기회가 있었다. 강을 건너 강동에서 훗날을 도모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면목(面目)이 없었다. 그를 지지해준 백성들을 볼 낯이 없었다. 깨끗이 접었다. ▷면목의 다른 말은 염치(廉恥)이다. 공자는 선비를 “염치를 알고 행하는 자”라고 했다. 이를 관자는 정치의 네 요소로 정리한다. 예의염치(禮義廉恥)이다. 이 중 하나가 끊어지면 나라가 기울고, 둘이면 위태롭고, 셋이면 뒤집어지며, 넷이면 망한다고 했다. ▷부끄러움은 만물의 영장을 짐승과 구별하는 덕목이다. 주인 위에 군림하고, 사욕을 공익이라 강변하며, 권력을 흉기로 쓰면서 “내가 정의”라고 윽박지르는 세도(稅盜)들이 설친다. 그야말로 철면피(鐵面皮)와 파렴치(破廉恥)의 횡행에 나라 앞날이 걱정이다.◀ <權>
박종권 초빙논설위원

강선영 hotta5@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