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추이. /자료=통계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하면서, 올해 뜨거웠던 디플레이션 논쟁도 자취를 감출지 주목된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기대비 0.2% 상승한 104.87(2015년 100 기준)으로 집계됐다. 가을 태풍으로 무, 배추 등 가격이 오르면서 농산물 가격 하락세가 둔화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내내 0%대의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 9월에는 0.4% 하락하며, 196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 8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따진 물가 상승률이 -0.04%을 나타내면서 시작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논쟁이 본격화됐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지난 8~9월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은 전년도 농축산물 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와 고교 무상교육 실시 등 복지정책 영향이 겹친 결과로 설명하며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당초 예상대로 물가 상승률은 지난 8월을 기준으로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한은 관계자는 "(11월 물가 상승률은) 플러스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했었고, 그대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마이너스를 나타낼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폭염 영향으로 소비자물가지수가 급등하면서 올해 8~10월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기저효과가 발생했다"며 "올해 물가 상승률이 0%대로 낮았기 때문에 내년에는 반대로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기저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물가 상승률이 금융위기 전보다 낮아져있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유가, 농산물 가격 같은 공급 측 충격이 커지면 물가 상승률이 일시적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이 지난 9월 1990년 1분기부터 2019년 2분기까지 물가 상승률 하락을 경험했던 41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물가 상승률 하락은 356회(분기) 발생했다. 전체 분석대상 분기의 7.4%였다. 2008년 이후만 따지면 전체 분석대상 분기의 13.6%로 늘어난다.
특히 자산가격 하락을 동반한 물가 하락, 즉 디플레이션은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디플레이션에 대한 정의는 기관마다 다른데, 한은은 자산가격 하락이 동반되는 '스파이럴 효과(악순환)' 발생 여부를 중요하게 고려한다.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이 나타날 가능성이 희박해졌고, 최근 국내 부동산 시장이 들썩거리는 등 자산가격은 오히려 상승하는 조짐을 보이면서 앞으로 디플레이션 논쟁이 탄력을 받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1월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격은 전월대비 0.19% 상승했다. 수도권은 0.35%, 지방은 0.04% 상승했다. 지방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1년 만에 상승 전환했다.
하지만 물가 상승률 수준 자체가 낮은 저물가 상황은 지속될 전망이다. 한은은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각격 0.4%, 1.0%로 전망했다. 물가 안정목표(2.0%)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한고은 기자 doremi0@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