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정치계 막말과 단식

황교안, 단식 8일만 의식 잃고 병원 이송…“의식 회복, 고비 넘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촌 세브란스 병원 앞 브리핑
“黃 간신히 눈 뜨고 사람 알아봐”
신장기능 급격히 떨어져 단백뇨 증상 악화
27일 밤 의료진·부인 쓰러진 黃 발견

주위 만류에도 黃 “아직 할 일 남았다” 버텨
20일부터 패트 법안 저지 ‘노숙단식’ 진행
한국 의원들 응급실 앞에서 향후투쟁 논의
“황 대표 의식 차리면 단식 이어갈 듯”
서울신문

응급실 향하는 황교안 대표 - 청와대 앞에서 8일째 단식하던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7일 밤 응급실로 이송되고 있다. 2019.11.27 자유한국당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 앞에서 8일째 단식 투쟁을 벌였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 27일 밤 건강 상태가 악화돼 결국 구급차에 실려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 의식을 잃었던 황 대표는 28일 새벽 의식을 회복하면서 다행히 위험한 고비는 넘긴 것으로 전해졌다.

김명연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28일 황 대표가 입원한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브리핑을 열고 황 대표의 상태에 대해 “간신히 바이털 사인(vital sign: 호흡·맥박 등 살아있음을 보여주는 징후)은 안정을 찾았다”면서 “일단 위험한 고비는 넘겼는데, 긴장을 풀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황 대표는 병원 응급실에서 검사와 조치를 받은 뒤 일반 병실로 옮겨졌다. 그는 이날 새벽 의식을 회복했다고 김 수석대변인이 전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황 대표가 간신히 눈을 뜨고 (사람을) 알아보는 정도의 기초적인 회복이 돼 있는 상태”라면서도 “저혈당과 전해질 불균형 문제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뇌부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해질 불균형 수치가 현재 ‘경계선’이라고 김 수석대변인이 설명했다. 신장 기능도 급격히 저하돼 최근 사흘째 단백뇨가 나오고 있다.

세브란스병원은 이날 오전 중 담당 의료진이 황 대표의 정확한 건강 상태를 알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울신문

응급실 향하는 황교안 대표 - 청와대 앞에서 8일째 단식하던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7일 밤 응급실로 이송되고 있다. 2019.11.27 자유한국당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응급실 향하는 황교안 대표 - 청와대 앞에서 8일째 단식하던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7일 밤 응급실로 이송되고 있다. 2019.11.27 자유한국당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응급실 향하는 황교안 대표 - 청와대 앞에서 8일째 단식하던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7일 밤 응급실로 이송되고 있다. 2019.11.27 자유한국당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 대표는 전날 오후 11시 7분쯤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텐트에 있던 의료진과 부인 최지영 여사가 쓰러진 황 대표를 발견했다. 발견 당시 호흡은 이뤄지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단식농성장 주위에 대기하고 있던 구급차는 황 대표를 싣고 신촌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송했다. 구급대원들이 이송 중에도 응급조치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황 대표는 지난 20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오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과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철회 등을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황 대표는 전날에도 청와대 사랑채 앞에 설치된 몽골텐트에서 단식농성을 이어갔다. 그러나 이들 법안 가운데 선거법 개정안은 한국당의 반대에도 27일 국회 본회의에 부의됐다.

황 대표는 바닥에 꼿꼿이 앉은 자세로 농성을 해왔지만, 23일 저녁부터 자리에 누운 채로 보내고 있다. 25일부터는 신장 기능이 떨어지는 단백뇨 증상이 나타났다.

황 대표는 전날 의식은 있지만 말을 거의 못 하는 상태였다. 황 대표는 하루에 3차례 의료진의 진찰을 받았다.

황 대표 주위 인사들은 추위 속에 밖에서 잠을 자는 ‘노숙 단식’에 우려를 보이며 중단을 권유했지만, 황 대표는 의식을 잃기 전까지 “아직 할 일이 남았다”며 단식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서울신문

응급실 앞에 모인 자유한국당 - 청와대 앞에서 8일째 단식하던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서울 신촌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응급실로 이송된 27일 응급실 앞에 나경원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과 당직자들이 대기하고 있다. 2019.11.27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黃 단식 천막 찾은 나경원 -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사랑채 앞 황교안 대표의 단식농성장을 방문하고 있다. 2019.11.27/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황교안 대표 천막 들어서는 나경원 원내대표 -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27일 저녁 황교안 대표가 단식 중인 청와대 사랑채 앞에 설치된 텐트로 들어가고 있다. 2019.11.27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경원 “야당 대표 오랜 시간 추위 속
단식에도 반응 없다…정말 비정한 정권”
민경욱 “맡겨달라, 우리가 목숨 걸 차례”
전략적 유연성 줄어 극한투쟁 갈지 주목
12월 3일 공수처 부의시 정국 파행 우려


앞서 나경원 원내대표는 전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를 마친 뒤 의원들과 함께 황 대표를 찾아 병원에 갈 것을 권유했지만 황 대표가 “(단식을) 조금 더 이어가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도읍 대표비서실장도 “의사들은 안 된다는데, 황 대표는 계속하겠다고 버티는 중”이라고 상황을 설명했었다.

한국당 의원들은 이날 황 대표가 쓰러졌다는 소식에 응급실 앞으로 긴급히 모였다. 이들은 황 대표의 건강을 염려하면서 향후 투쟁 방향을 논의했다.

한국당은 28일 오전 10시 30분쯤 국회에서 긴급 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

나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어떻게 할지 당장 말씀드리기는 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야당 대표가 오랜 시간 추위에서 단식을 이어갔는데, 이 정권은 어떠한 반응도 없었다”면서 “정말 비정한 정권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외쳐야 반응이라도 할 것인가”라고 물었다.

박맹우 사무총장은 “우리는 당연히 단식을 말릴 테지만, 황 대표의 의지가 워낙 강해서 의식을 차리면 단식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당내에서는 황 대표가 쓰러지면서 ‘선(先) 패스트트랙 철회, 후(後) 협상’ 기조의 투쟁 노선이 더 강경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서울신문

단식 8일 차 황교안 - 단식 8일 차를 맞은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7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 천막에서 나경원 원내대표 등 의원들을 만나고 있다. 2019. 11.27.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패스트트랙 법안을 결사 저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수였지만, ‘공수처법은 받고 선거법은 막자’는 협상론도 조금씩 제기됐다.

하지만 황 대표가 의식을 잃으면서까지 ‘패스트트랙 법안 저지’ 의지를 보였다는 점에서 당내 협상론을 공공연하게 꺼내기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이미 일부 의원은 황 대표의 건강이 악화하는 과정에서 “제1야당 대표의 죽음을 각오한 단식을 조롱하고 폄훼한다”며 여권을 향한 강한 적개심마저 내보이던 상황이다.

실제 일부 의원들은 극한투쟁을 다짐했다.

민경욱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 글에서 “이제 남은 싸움은 우리에게 맡겨달라. 우리가 목숨 걸 차례”라고 올렸다.

이에 따라 속도를 내던 여야 3당 원내대표의 패스트트랙 협상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한국당의 전략적 유연성이 줄어들며 대치가 격화될 수도 있다. 특히 12월 3일 공수처법이 본회의에 부의되면 이후 자칫 여야 격돌에 따른 정국 파행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서울신문

- 단식 8일 차를 맞은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7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 천막에서 나경원 원내대표 등 의원들을 만나고 있다. 2019. 11.27.박지환 기자popocar@seoul.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