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3 (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김기현 “‘경찰 표적수사’에 당했다… 배후에 청와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7일 기자회견 열고 청와대발 표적수사 의혹 제기

“전대미문의 악랄한 권력형 범죄 자행”

“공수처 설치되면 야당 숙청 법률로 제도화될 것”

이데일리

자유한국당 소속 김기현 전 울산시장이 27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이 경찰 수사를 받으면서 낙선했던 지난해 6·13 지방선거에 권력기관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자유한국당 소속 김기현 전 울산시장이 27일 낙선했던 지난해 6·13지방선거 당시 청와대가 자신과 관련한 경찰 수사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김 전 시장은 “청와대가 공권력을 동원해 민심을 움직였다”며 “전대미문의 악랄한 권력형 범죄”라고 진실규명을 촉구했다. 이와 더불어 여권이 추진하고 있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 역시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시장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에 위임받은 수사권을 특정인의 개인적인 출세와 특정 정치세력의 권력 획득 및 강화를 위해 자의적으로 마구 남용한 권력 게이트의 마각이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언론보도를 인용해 “검찰이 지난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김기현에 대한 표적수사를 하도록 당시 울산경찰청장인 황운하에게 지시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찰이 김 전 시장의 재선을 막으려고 표적수사를 벌였으며 수사의 단서가 된 첩보를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건넸다는 것이다. 이때 민정수석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다.

김 전 시장은 “게임을 공정하게 진행해야 할 직무를 위임받은 심판이 한쪽 편을 들어 선수로 뛰면서 게임을 편파적으로 진행하는 파렴치한 행위는 불공정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당시 김 전 시장에 대한 수사를 지휘한 황운하 당시 울산지방경찰청장은 최근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총선에 출마하겠다면서 명예퇴직을 신청했다. 이에 대해 김 전 시장은 “황운하가 시커먼 속내를 드러내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내년 총선에 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도 출세를 위해 정치공작수사를 벌였던 추악한 의혹의 진상이 일부 드러난 것”이라 했다.

또 모 건설업자가 울산경찰청에 제출했다는 김 전 시장과 지인에 대한 고발장이 수사담당경찰이 대필해 준 것으로 보인다는 의혹도 추가로 제기했다.

김 전 시장은 황 청장의 배후에 ‘몸통’이 있을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가 지목한 이른바 ‘든든한 배경’은 문재인 대통령과 조 전 장관이다.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 자신을 누르고 당선된 송철호 현 울산시장이 2014년 국회의원 보궐선거(울산 남구을)에 나섰을 때 조 전 장관은 후원회장을 맡았으며 유세현장에서 ‘바보 노무현보다 백배 더한 바보 송철호’라는 토크 콘서트를 열었다. 당시 국회의원이었던 문 대통령도 이 토크콘서트에 참석했다.

김 전 시장은 “노무현, 문재인, 송철호 등 세 분은 오래전부터 개인적 친분이 매우 두터웠다”며 “송 시장이 그동안 8차례 낙선했던 만큼 지난 지방선거에서 ‘어떻게든 당선시켜야 한다’는 공감대를 이루었다고 보는 것이 상식에 부합한다”고 지적했다. 황 청장이 송 시장을 당선시키기기 위해 자신을 표적수사했다는 것이다.

김 전 시장은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올라 있는 공수처 설치와 검경수사권 조정 시도 역시 “음흉한 계략이 숨겨져 있는 사탕을 바른 독극물”이라고 반대했다. 그는 “여권 고위인사들의 죄는 있는 것도 덮어버리고 야권 인사들에게는 없는 죄도 있는 것처럼 덮어씌우려는 것”이라며 “청와대가 아무리 부패를 일삼아도 들키지 않고 반대세력은 마음대로 숙청하는 횡포를 저질러도 되도록 법률로써 제도화하려는 흉계”라고 표현했다.

아울러 “검찰은 이제라도 황운하를 즉각 구속하고 청와대가 증거를 인멸하지 못하도록 압수수색을 통해 진실을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며 “황운하 뒤에 숨어있는 몸통이 조국인지 더 상부의 권력자인지도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