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한·아세안 정상들 지키는 드론·로봇…경호도 '최첨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늘(25일)부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에서는 무인경비차량이나 로봇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경호장비들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우선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 경호안전통제단은 이번 회의에서 다목적 무인경비차량인 'HR-셰르파'를 투입했습니다.

이 차량은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원격 및 자율주행 기반 차량으로, 사람을 태우지 않고서도 회의장 주변을 다니며 경비정찰 임무를 수행합니다.

무인경비차량의 상부와 전후좌우에 카메라를 탑재해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차량 주변 360도 영상을 수집하고, 이 영상은 종합상황실로 자동 전송됩니다.

차량 주위의 경호 요원을 인식해 자동으로 따라가거나 지정된 경로를 스스로 탐색해 순찰하는 자율주행도 가능하다고 경호안전통제단은 전했습니다.

경비안내 로봇 '파로'도 회의장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 로봇은 벡스코 전시장안에서 참석자들에게 안내 역할을 하며 경비 임무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은 물론 외국어로 안내를 하는 것도 가능하며, 침입자가 발생하면 상황실 담당자에게 신고하는 역할도 맡습니다.

경호용 드론도 동원됐습니다.

이 드론은 각국 정상들이 이동하는 통로를 점검하는 역할, 수림지와 해안선 등지의 수색을 맡습니다. 일몰 후에는 열상장비를 장착해 야간수색에 나서기도 합니다.

고층 건물의 옥상 등지에 침입한 저격 용의자를 찾아내는 임무도 수행합니다.

아울러 1만4천여명에 달하는 특별정상회의 등록 인원의 신원 파악 및 출입관리를 위해 인공지능(AI) 엔진을 활용한 최첨단 안면인식 출입관리시스템도 운용 중이라고 경호안전통제단은 설명했습니다.

경호안전통제단 관계자는 "다자간 정상회의는 개최국의 첨단 기술력을 드러내는 경연장이기도 하다"며 "한국은 그동안 국내에서 개최된 다자회의에서 ICT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확실하게 보여줬다. 이번에도 4차산업 기술을 폭넓게 활용했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