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4 (화)

이슈 미술의 세계

과학과 미술의 긴밀한 협력…“대덕 과학미술대회, 차세대 과학예술 플랫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상 대전봉명초 4학년 임서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1회 ‘대덕에서 과학을 그리다 미술대회’ 심사에서는 이번 대회 심사에서는 과학과 미술의 긴밀한 협력이 특히 눈에 띄었다.

과학자들은 암흑물질 등 일부 생소한 과학 주제에 대해 미리 개념을 설명해 이해를 도왔다. 미술 전문가들은 회화적 완성도와 표현력이 뛰어난 작품들을 직감적으로 잡아내면서 과학자들과 함께 과학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도 살폈다. 심사에 참여한 박일호 이화여대 교수는 “과학적 주제를 얼마나 창의적으로 해석했는지, 그 의미를 예술로 얼마나 잘 풀어냈는지 두루 감안했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대전광역시교육감상 충남 금오초 6학년 박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국가핵융합연구소장상 봉명초 6학년 민가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상 송촌초 5학년 정지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장상 삼천초 3학년 정예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상 탕정초 4학년 조성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심사가 열린 10월 28일 오전 10시 대전 유성구 KAIST 학술문화관 정근모 콘퍼런스 홀. 심사를 맡은 김정호 KAIST 교수가 “심사장까지 걸어오면서 분석적 사고를 예술 모드로 바꾸기 위해 무진 애를 썼다”고 말해 좌중에 웃음이 터졌다.

심사 전 커피타임에선 AI 응용 전문가인 김 교수가 “AI도 창작을 한다”며 두 분야가 공히 관심가질 화제를 던졌다. 그는 “AI든, 유전자(DNA)든, 인간이든 창조하는 방식은 마찬가지다. 이제껏 인간의 본성이라고 생각했던 부분들이 실제로는 진화기간 학습에 의해 기억된 것이다. 인공지능도 학습을 통해 미술 음악 문학 작품을 창작 할 수 있다”고 했다.
동아일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상 유성중 1학년 이예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한국화학연구원장상 문지중 1학년 김아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한국한의학연구원장상 내동초 4학년 박서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상 대성고 2학년 김성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상 한밭초 5학년 정현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술전문가인 강미정 서울대 강사는 “진화된 알파고도 결국 계산을 잘하는 것이고 인간이 제공한 데이터로 움직인다. 인간의 사고는 다르다고 봐야 한다”고 동의하지 않았다. 김 교수는 “발전된 AI의 내부는 블랙박스다. 이미 데이터 없이도 스스로 학습하는 경지에 왔다”고 받았다. AI의 최고 경지가 창작일 것이라는 데에는 양 측 모두 이견이 없었다.

일부 작품은 과학자의 눈을 통해 진가가 드러나기도 했다. 흔한 소재로 취급해 지나칠 뻔한 토성 모양의 그림은 “주제가 ‘전자현미경으로 바라본 세상’이니 다중우주론을 설명하는 그림”이라는 소중호 기초과학연구원 선임기술원의 주장으로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동아일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상 신일여고 1학년이 백세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상 대전 갑천중 1학년 이준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한국기계연구원장상 새뜸초 6학년 배윤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참가 학생들은 주제를 한 달 전 미리 선택해 충분히 학습한 뒤 그림으로 표현했다. 주최 측은 주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참가자들이 해당 연구기관의 과학자에게 질의를 하거나 연구기관을 직접 찾아가 현장체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했다. 심사 결과 인공지능과 지구의 미래, 우주생활, 드론, 바이오, 분석장비, 가상현실, 슈퍼컴퓨터, 생활 속 표준, 암흑물질, 화학의 미래, 인공태양, 한의학, 로봇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수상자가 나왔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 강사는 “참가자들이 연구기관 견학을 성실하게 수행하고 그 경험을 작품에 잘 담아낸 것 같았다”고 전했다. 선승혜 대전시립미술관장(심사위원장)은 “이 그림 대회를 ‘차세대 과학예술 플랫폼’으로 극찬하고 싶다”며 “심사 내내 미래 세대의 신인류를 발견했다는 놀라움으로 가득 차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대전=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