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크아웃 컵 유료제공·배달용기도 1회용 점진적 퇴출
정부 '1회용품 줄이기'에 공감하지만 고객부담 증가 뻔해
영세업자들은 비싼 친환경 용기 구매해 동참 여력 없어
호텔의 경우 숙박료 인상으로 이어질 전망
서울의 한 관공서에 입주한 커피숍, 이용자 대다수는 공무원들이지만 매장내 플라스틱 컵 등 일회용컵 사용은 여전하다./윤동주 기자 doso7@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최신혜 기자] 정부의 대대적인 '1회용품 줄이기' 계획과 관련, 숙박ㆍ외식ㆍ배달업계는 '환경 보호'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결국 고객 부담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1회용 제품을 대체하기 위해 필요한 인건비와 배달비 등이 결국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서다.
특히 '어메니티(생활편의용품)' 등 1회용품 사용 자체가 마케팅 전략의 하나인 숙박업계는 업의 본질을 해치는 결과로 돌아올 수 있어 고심하는 눈치다. 일각에서는 영세업체 및 소상공인들의 경우 대형 프랜차이즈와의 경쟁을 위해서는 비용 부담이 적은 1회용품 사용이 절실한 상황에서 현실성 있는 대책이 보완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날 정부가 발표한 '1회용품 함께 줄이기 계획'으로 인해 업계는 포장 관련 비용 상승을 이 우려된다. 정부 계획안은 남은 음료를 테이크아웃하는 컵과 포장ㆍ배달음식 1회용 식기를 2021년까지 무상제공을 금지하는 한편 용기ㆍ접시도 친환경ㆍ다회용기로 전환을 유도하는 것이 골자다. 또 2022년부터는 50실 이상 숙박업에 1회용 위생용품 무상제공이 금지되며, 정기배송에 스티로폼 상자 대신 재사용 상자를 이용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1회용품 사용을 35% 줄인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지만, 외식업계는 비용 상승이 불 보듯 뻔하다는 반응이다. 국내 유명 분식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포장ㆍ배달음식 1회용 식기류 무상제공 금지의 경우 이미 업계 전반에서 실천 중인 내용이기에 큰 문제가 없지만, 용기ㆍ접시를 친환경 소재 또는 다회용기로 전환하라는 것은 억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배달에 다회용기를 이용할 경우 직접 수거해야 해 인건비가 두 배로 지출될 것"이라며 "인건비 부담을 위해 음식값에 수거비까지 포함을 하게 될 수도 있고 결국 소비자가 손해를 볼 것"이라고 했다. 비싼 친환경 소재 용기를 자영업자들이 도입하기 쉽지 않은 점도 문제다.
커피전문점들 역시 볼멘소리를 쏟아냈다.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관계자는 "1회용품 사용 줄이기는 분명 필요한 정책이지만, 소비자 비용 전가가 불가피하다"며 "마시던 음료를 1회용컵에 옮겨담는다고 비용을 지불하게 한다면 현장에서 소비자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머그잔 사용 의무화나 테이크아웃 시 음료를 1회용컵에 옮겨 담는 것도 소비자 부담이 없어 현실적 적용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숙박업계도 행정편의적이며 탁상행정이라고 꼬집었다. 호텔업계 한 관계자는 "세계적으로도 1회용품 사용 금지를 강제하지 않으며, 1회용 용기를 고정 용기로 대체하도록 유도하는 수준"이라며 "일부 호텔에서 리필용 용기로 대체하고 있지만, 그마저 고객들이 싫어할 수 있어 업계의 고민이 큰 상황인데 너무 황당하다"고 털어놨다. 이어 "호텔은 외국인이 많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다른 나라 호텔에 없는 내용까지 적용할 경우 국내 관광경쟁력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호텔 관계자도 "고객 편의를 위해 제공돼왔던 어메니티가 유상으로 전환되면 각종 컴플레인과 불편이 예상된다"면서 "유상으로 제공하면 호텔에서 패키지를 판매할 때 가격에 포함시키면 되겠지만 이는 결국 요금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e커머스업계도 비용 문제로 인해 일반 쇼핑몰로의 확산은 쉽지 않다고 예상했다. 업계 관계자는 "본사가 직접 신선배송을 하는 곳이라면 정부 권유에 따라 변화를 추진할 수 있겠지만, 개인 사업자의 영세 쇼핑몰은 재사용 상자 사용ㆍ회수 비용을 감당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환경부는 스티로폼 상자를 재사용 상자로 전환하는 것은 기업대 기업(B2B) 거래를 주로 염두에 둔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생산·제조업체가 마트로 보내는 물건까지 스티로폼 박스를 쓸 필요가 있겠냐는 것"이라며 "다회용 박스를 적용해보는 다양한 방법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스티로폼의 보냉효과를 생각하면 무조건적인 퇴출도 어렵다. 환경부 관계자는 "(배송에) 2~4일이 걸리는 물품은 스티로폼을 써야 할 것"이라며 "어느 선까지 스티로폼 상자를 재사용 상자로 전환할지는 계속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최신혜 기자 ss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