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철호 한국VR·AR산업협회 사업관리실장
[이데일리 김종호 기자] “5G(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안정화하고 VR(가상현실) 헤드셋 신제품 판매 추이가 드러나는 오는 2021년까지의 2년이 향후 VR 시장 성장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콘텐츠 부족 등으로 VR에 대한 실망감을 가진 소비자가 다시 돌아온다면 이후 거대한 시장으로 급성장할 수 있다.”
황철호 한국VR·AR산업협회 사업관리실장(사진)은 지난 21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전 세계 VR 헤드셋 출하량이 2016년 정점을 찍은 이후 2018년까지 감소하는 추세에서 2019년 5G 상용화에 따른 실시간 연결 안정화와 콘텐츠 증가, 헤드셋 신제품 출시 등에 힘입어 관련 시장이 다시 반등할 수 있다고 기대한 것이죠.
황 실장은 “상당수의 조사기관이 2019년을 기점으로 VR 산업의 성장률이 대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면서 “고품질 대용량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아주 빠르게 주고 받을 수 있는 5G 시대가 개막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는 “다중접속 서비스 등 초실감 기술 기반의 높은 몰입도 및 실시간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초고속과 초저지연, 초연결 등을 특징으로 하는 5G 네트워크가 필수”라면서 “기존 4G 네트워크에서는 전송속도 문제로 지연 등이 발생해 구현하지 못한 다양한 VR 서비스를 5G 시대에는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VR·AR산업협회에서는 5G 시대 도래에 따라 실시간 콘텐츠부터 쇼핑과 교육, 의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VR 기술개발을 통한 서비스 상용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황 실장은 우리나라와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간 VR 기술 격차가 존재하는 상황을 지적하면서 미래 시장 주도를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미국의 VR 기술을 0년이라고 보면 유럽은 0.8년, 일본은 1년, 한국은 1.6년, 중국은 2.0년 등 격차가 존재한다. 한국은 미국 대비 20%포인트의 기술격차를 두고 있는 셈”이라며 “우리나라는 5G와 디스플레이 등 관련 기술로 세계를 선도 중인 만큼 정부 주도의 VR 핵심 기술 고도화 지원 및 교육·제조·국방·의료 등과의 융복합 프로젝트 추진 등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황 실장은 “VR·AR산업협회는 2016년부터 정부와 협력해 VR 체험존 구축 법제도 개선과 의료기기 가이드라인 마련 등 관련 규제 해소에 노력해 왔다”면서 “하지만 VR은 신(新)산업으로서 여러 규제를 받고 있는 만큼 정부가 VR 비즈니스 모델 정착 등을 위해 신산업 규제 특례 등을 포함한 특별법을 마련해줄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