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경남도, 공공보건의료 강화에 4년간 1251억원 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윤인국 경남도복지보건국장이 11일 오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경남도 공공보건의료 강화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보건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5개 중진료권에 지역책임의료기관 1개씩 지정과 거창‧통영 적십자병원 신축 등 공공보건의료 강화에 나선다.

경남도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믿고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의료 강화 대책’과 연계해 내년부터 2023년까지 1251억원을 투자해 공공보건의료 강화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도는 도내 취약지 의료여건 개선을 위해 지역실정에 맞는 ‘공공보건의료 강화 대책’으로 의료 사각지대 해소, 응급의료체계 개선, 서민층 의료지원 강화, 저출생시대 대비 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지원 등을 확대 한다.

먼저 보건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5개 중진료권 설정 및 진료권별 지역책임의료기관 지정을 추진, 보건복지부의 ‘지역의료 강화 대책’에 경남은 거창권, 통영권, 진주권 3곳이 공공병원 신축 대상지에 선정됐다.

도내 중진료권은 창원권, 진주권, 통영권, 김해권, 거창권 5개로 설정, 진료권별로 마산의료원, 양산부산대병원을, 거창권, 통영권은 적십자병원을 지역책임의료기관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진주권은 공공의료 확충 방안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통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또 도서·벽지 등 의료취약지 주민의 원격진료를 위해 보건의료기관 ICT 활용 협진사업을 내년부터 확대 운영 및 개선해 민간의료기관의 전문의사와 보건기관 의료진 간 협진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고 대상지역도 5개 시·군에서 6개로 확대 운영한다.

세계일보

이 외 야간진료 병원이 없는 의료취약지 보건소에는 야간응급진료센터 운영을 지원, 우선 내년 사천읍보건지소와 함안군보건소 2곳에 시범 운영하고, 2022년부터는 지원사업의 성과분석과 시·군수요에 따라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시급한 응급의료 시설 확충과 체계 구축에 391억원을 투자해 응급의료의 수준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으로 기존 국비사업인 응급의료기관 운영비 지원과 함께 지역실정에 맞춰 도 자체사업으로 2023년까지 103억원을 추가로 투자한다.

마지막으로 저출생시대에 대비해 의료취약지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를 확대 운영하고 분만산부인과가 없는 8개 군의 등록 임산부에게 병원 이송, 응급의료상담 등을 지원하는 안심출산 119서비스를 제공한다.

도는 앞으로 의료 격차 해소와 효율적이고 수준 높은 공공보건의료서비스 제공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경남도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조례’를 연내 제정해 공공보건의료 연계체계 등을 포함한 ‘공공보건의료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대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꼼꼼히 챙겨 나갈 것이며 보건의료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앞으로도 도민의 의견을 수렴해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공공보건의료 시책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