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지역정치와 지방자치

경북도의회 "대경연구원 연구실적 부족, 대구 편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대구경북연구원 행정사무 감사
[경북도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도의회의 대구경북연구원 행정사무 감사에서 연구실적 대구 편중 등 과제수행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 출연해 설립한 대구경북연구원은 해마다 연구 과제의 대구 편중, 대구와 경북 분리 등 논란을 되풀이하고 있다.

12일 경북도의회에 따르면 전날 기획경제위원회의 대구경북연구원 행정사무 감사에서 박영환 의원은 "연구원의 연구실적이 대구에 편중해 경북의 독자적인 연구원 설립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있다"며 "경북의 주요 현안에 대한 연구과제 발굴과 수행 등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남진복 의원은 "연구원의 도청센터가 경북도의 기분을 맞춰주기 위한 조직이라면 낭비 요소이므로 역할 정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김득환 의원은 "대구와 경북의 이해관계가 대립하는 경우 공정한 연구수행이 불가능하므로 두 지역을 각각 대변할 수 있는 부원장 제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도기욱 의원은 "전년보다 사업수익은 감소하고 출연금만 증가하고 있고 지역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않은 채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며 "새로운 시책과 비전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인 역할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종열 의원은 "연봉자료를 보면 연구원 54명 가운데 25명이 9천만원 이상 고액연봉자임에도 연구실적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지난 9월 도의회에서도 원장의 연봉이 장관보다 월등하게 많은 국무총리급인 것으로 드러나 '원장의 초임 연봉은 장관 및 장관급에 준하는 공무원 연봉을 적용한다'는 연구원 보수 규정이 논란을 빚기도 했다.

황병직 의원은 "수습직원이 부서의 공금 유용 의혹을 내부적으로 문제 제기한 후 의혹의 당사자인 해당 부서장의 낮은 평가로 정규직 임용에서 탈락했다"며 "내부 비리를 개선하지 않고 도리어 올바른 문제를 제기한 직원의 직장을 뺏고 다른 직원들의 입에 재갈을 물린 나쁜 사례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공익신고자 보호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공익신고 처리 및 신고자 보호 등에 관한 규정'을 시급히 만들라고 주문했다.

황 의원은 또 "특정인을 위해 인사위원회에서 추천도 하지 않은 연구위원을 승진 결정하고 담당자와 기획경영실장의 결재도 거치지 않은 채 원장 단독으로 처리할 정도로 비상식적으로 인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부당 승진 관련자 처벌을 촉구했다.

haru@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