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팩트체크] 삼청교육대 언급 '극기 훈련 의미한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찬주/전 육군대장 (어제) : 군인권센터 소장은 삼청교육대 한번 교육을 받아야 되지 않는 사람인가, 이런 생각 갖고 있습니다.]

[박찬주/전 육군대장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 극기훈련, 또는 유격훈련 이런 것들을 받음으로써 자신을 되돌아볼 기회가 있어야 되지 않느냐는 뜻으로 말씀을 드렸다.]

[앵커]

박 전 대장이 오늘(5일) "삼청교육대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건 아니다"고 해명을 했습니다. 하지만 "사과할 일은 아니고, 극기훈련으로 자신을 되돌아보라"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는데요, 과연 삼청교육대를 극기훈련에 빗대는 게 적절한지 팩트체크 이가혁 기자와 따져보겠습니다.

[기자]

삼청교육대가 법을 완전히 무시한 인권유린 사건이라는 건 이미 역대 정부와 군이 조사를 통해 이미 밝혔고, 인정한 사실입니다.

2006년 국방부 진상조사 결과 보시죠. 전두환 씨의 대통령 취임 전후, '사회악 제거'라는 명목으로 군인과 경찰이 민간인을 붙잡았습니다.

이 가운데 4만 명 가까운 사람들이 전국 26곳 군부대에 설치된 '삼청교육대'로 끌려갔습니다.

제대로 된 수사나 재판 같은 절차가 없는, 강제 입소였습니다. 검거 기록을 보면 미성년자도 400명이 넘었습니다.

공권력이 특정 민간인을 함부로 '사회악'이라고 낙인찍고, 힘으로 개조시키려 한 겁니다.

[앵커]

일종의 납치나 다름없는데, 이것을 '극기훈련'으로 빗댄 것은 당연히 부적절한 것 아니겠습니까?

[기자]

당시 삼청교육대 운영 방침 일부를 보시죠.

하루 종일 육체적 고통을 주는 훈련 이후, 특히 태도 불량자, '말 안듣는 사람'으로 분류되면 따로 저녁 내내 별도 장소로 끌려가 '정신 교육'을 받았습니다.

잘 시간에도 강제로 자다 깨다를 반복하며 신체적인 학대를 받았습니다.

저항을 무력화 할 목적이라며 2끼 분량 식사를 3끼니로 나눠 지급하기도 했습니다.

삼청교육대 기간 중 숨진 사람이 54명입니다. 추후 후유증으로 숨진 피해자 수를 뺀 게 이 정도입니다.

태도 불량으로 군 간부에게 폭행당하고도 계속 훈련을 받다가 쓰러져 숨지는 등 안타까운 사례가 적지 않았습니다. '삼청교육대'에 극기훈련, 유격훈련 같은 말을 갖다 댈 수 없는 이유입니다.

[앵커]

당시 군이 이런 일을 벌일 수 있었던 게 '계엄 상황'이었기 때문이라는 건데, 이마저도 불법이라고 판명 났죠?

[기자]

삼청교육대는 계엄포고 제13호가 근거인데요,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이 계엄포고 자체도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계엄포고가 군사상 필요할 때만 가능한데, 삼청교육대는 그런 경우도 아니고, 국민의 신체 자유, 거주나 이전의 자유 같은 기본권을 침해했다"며 "법과 헌법에 어긋나서 무효"라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앵커]

예전에도 '삼청교육대'를 잘못 언급했다가 문제가 된 사례가 있었죠?

[기자]

2009년 당시 한나라당 허태열 최고위원이 공식 회의석상에서 조폭 범죄 심각성을 언급하며 "제2의 삼청교육대를 부활시키자는 말이 많다"고 발언했다가 여론의 질타를 받은 적 있습니다.

또 2016년에는 한 대학 교수가 강의 도중 학생들 앞에서 "게이는 삼청교육대에 보내야한다"는 발언을 해, 학생들이 '성소수자 혐오 발언'이라며 규탄 성명을 내기도 했습니다.

이런 발언이나, 박찬주 전 대장의 발언 모두 5공 시절 군이 민간인을 삼청교육대로 몰아넣을 때 내세웠던 가해자의 논리, 그러니까 '한번 들어가서 변화의 기회로 삼아보라' 식의 논리와 크게 다르지 않아보입니다.

[앵커]

팩트체크 이가혁 기자였습니다.

이가혁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