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간) 미국 호놀룰루에서 한국 측 수석대표인 정은보(왼쪽에서 둘째) 한미방위비분담협상 대사와 미국 측 수석대표인 제임스 드하트(오른쪽에서 셋째) 방위비협상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내년 이후부터 적용할 제11차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제2차 회의가 열리고 있다./외교부 제공©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미가 24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에서 내년 이후 적용될 11차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2차 회의 이틀째 협상에 돌입했다.
정은보 한·미방위비분담협상 대사와 제임스 드하트 미국 방위비협상대표를 수석대표로 하는 한미 협상팀은 현지시간으로 이날 오전 10시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방위비 분담금 규모를 놓고 협상을 시작했다. 양국 협상단은 전날 2차 회의 첫 날 협상을 마쳤다.
미국은 주한미군 인건비와 군사건설비, 군수지원비 등 방위비 분담금 3개 항목 외에 전략자산 전개비용을 포함한 직간접적인 운용 비용으로 연간 50억 달러(약 6조원)를 제시하고 대폭 증액을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한국이 분담하는 1조389억원의 5배를 훌쩍 넘는 막대한 액수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 24일 내신기자단 브리핑에서 “미국이 과거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요구를 하는 건 사실”이라며 “지금까지 10차에 걸쳐 유지해 온 SMA 틀 안에서 (분담금 규모를 결정) 해야 된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기본입장이다. 이 틀 안에서 합리적인 분담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요구하는 ‘작전 지원 항목’ 신설 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이다. 미국이 압박하는 대로 전략자산 전개 비용 등을 포함한 작전 지원 항목을 신설해 한국이 이를 부담하려면 주한미군지위협정(SOFA)까지 개정해야 한다. 강 장관은 “2차 회의 결과를 분석한 후 (한미간) 간극을 어떻게 줄여나갈지 범정부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 강도도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은 24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해 "공동 안보에 무임승차는 있을 수 없다"며 "지정학적 위치나 규모, 인구에 상관없이 모두가 동맹을 방어하고 전쟁을 억지하기 위해 그들의 몫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을 일차적으로 겨냥한 발언이었지만 전세계 동맹국들의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노골적으로 압박한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미 방위비 협상 3차 회의가 열리는 다음달 초엔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한국을 방문한다. 내달 5일 방한하는 스틸웰 차관보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문재인 정부 신남방정책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방한 기간 우리 정부의 외교안보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한일 지소미아(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과 방위비 분담금 인상 문제를 거론할 가능성이 크다.
오상헌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