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선거제 개혁

여야, 선거제 개혁안 '3+3' 회동…서로 입장차 확인속 절충 모색(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첫 회동서 각당 입장 개진·공유…추후 비공개 회동으로 논의 이어가기로

연합뉴스

선거제 개혁안 논의 '3+3' 회동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자유한국당 이만희 의원(왼쪽부터), 바른미래당 유의동 의원, 오신환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 자유한국당 김재원 의원,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이 23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선거제 개혁안 논의 '3+3' 회동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19.10.23 toadboy@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이슬기 김여솔 기자 =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여야 3당 교섭단체는 23일 선거제 개혁안 처리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며 절충점 모색에 나섰다.

여야 원내대표와 각 당 대표 1인이 참여해 '3+3' 형식으로 국회에서 열린 회동에서는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놓고 여야가 협상을 벌였다.

민주당 이인영·한국당 나경원·바른미래당 오신환 원내대표와 함께 각 당 대표 의원인 김종민(민주당)·김재원(한국당)·유의동(바른미래당) 의원이 회동에 참석했다.

선거제 개혁안을 의제로 다룬 첫 3+3 회동인 만큼 탐색전의 성격을 띠었다.

이날 회동은 선거법 개정안에 대한 각 당의 입장의 개진하고 공유하는 자리였다고 원내대표들이 비공개 회동 후 기자들과 각각 만나 전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선거법을 합의할 수 있는 지점이 있는지 모색해보는 자리로써 의미가 있었다"고 말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지금 접점 얘기를 할 때는 아니고 합의 처리 가능성에 대해 서로 진솔한 얘기를 하는 자리였다"며 "선거법을 개정한다면 어떤 쪽으로 가는 것이 개혁이냐는 것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고 언급했다.

오신환 원내대표는 "각 당 입장들을 허심탄회하게 얘기했다"며 "상대방 입장을 반박하거나 그러지 않고 굉장히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지난 4월 한국당을 뺀 여야 4당 공조로 패스트트랙에 지정된 선거법 개정안은 지역구(253석→225석)를 줄이고, 비례대표 의석(47석→75석)을 늘리면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내홍을 겪는 바른미래당의 경우 패스트트랙에 오른 선거법 개정안을 두고 비당권파와 당권파의 의견이 갈린다.

패스트트랙 지정 당시 당권파인 김관영 전 원내대표가 협상을 주도했다면 지금은 비당권파인 오신환 원내대표와 유의동 의원이 협상 테이블에 참여하고 있다.

비당권파는 선거제 개혁안을 한국당까지 포함해 합의 처리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 아래 준연동형 적용에는 반대하는 입장이다.

한국당은 비례대표제를 폐지하고 국회의원 정수를 270명으로 10%(30명) 줄인 안을 당론으로 제시했다.

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기자들에게 "'지역구 225석+비례 75석·연동형 비례제'(패스트트랙 안)와 '지역구 270석+비례대표가 없는 제도'(한국당 안)와 관련해 서로 문제점에 대한 얘기를 계속했다"고 말했다.

합의 처리 가능성을 모색한 이날 회동에서는 지역구 의원정수 문제도 테이블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평화당, 대안신당 등 일부 야당은 지역구 의원 수를 253석에서 225석으로 줄이는 패스트트랙 안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 참석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줄어든 지역구 의원 수 문제에 대한 얘기도 나왔는데 각 당에서 책임 있는 제안으로 나온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각 당 입장을 놓고 탐색전을 끝낸 여야 원내대표들은 추후 일정을 공개하지 않고 만나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이 원내대표는 "다음 만남은 비공개로 할 것이냐'는 물음에 "그렇다. 저희끼리 좀 편하게 한번 만나볼 것"이라고 답했다.

패스트트랙에 오른 선거법 개정안은 국회 법제사법위의 체계·자구 심사를 거친 뒤 11월 27일 본회의에 부의된다.

kong7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