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러 군용기 자국 방공식별구역 침범에도 침묵한 日…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러시아 군용기들이 22일 오후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은 물론 일본방공식별구역(JADIZ)까지 넘나들며 비행했지만 일본 정부와 NHK와 일본 주요 매체들은 사태 이튿날인 23일 오전 9시까지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일본이 민감하게 생각하는 독도 주변 비행 사실까지 한국 군 당국이 밝혔지만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다.

조선일보

러시아 대잠초계기 투폴례프(Tu)-142.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위대 통합막료감부(한국군 합동참모본부에 해당)가 22일 밤 보도자료를 통해 "러시아 TU-95 폭격기 2대가 일본해(동해의 일본측 명칭) 및 동중국해에서 비행해 자위대 전투기를 긴급발진(스크램블)시켜 대응했다"고 밝혔을 뿐이다.

그런데 이날 출동한 러시아 군용기는 폭격기뿐만 아니다. 조기 경보기(A-50)와 전투기(Su-27) 등 모두 6대가 비행했다. 또 통합막료감부는 보도자료에서 러시아기의 비행 궤적을 제주도 남단에서 시작해 쓰시마(対馬) 섬 남단을 거쳐 동해로 북상하는 것만 공표했다. 울릉도와 독도 사이를 오간 러시아 군용기들의 움직임은 표시하지 않은 것이다.

이런 모습은 지난 7월 23일 러시아 군용기가 독도 주변에서 비행했을 때 일본 측이 보였던 반응과 비교된다. 당시 일본 정부는 러시아는 물론 한국 공군 전투기가 러시아 군용기에 경고사격을 하는 등 대응한 것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발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이름) 영유권에 관한 우리나라의 입장에 비춰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극히 유감"이라며 "한국에 강하게 항의하고 재발 방지를 요청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례적으로 신중한 일본의 반응에 대해서는 같은 날 열린 나루히토(徳仁) 일왕의 즉위 선포식을 원인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191개 국가·지역·기구 대표자들이 참석하는 국가적인 행사에 찬물을 끼얹지 않기 위해 극도로 반응을 자제했다는 분석이다.

독도 주변 비행에 대해서는 이낙연 총리가 일왕 즉위 축하를 위해 방문한 상황을 배려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이정수 인턴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