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장(腸) 염증반응 막고 상처회복 촉진 기전 규명…장질환 새 치료제 개발 기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장 내에서의 RORa 생리적 기전 규명.[한국연구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백성희 교수·연세대 황성순 교수·아주대 박대찬 교수 연구팀이 염증성 장질환 생쥐 모델에서 핵수용체에 의해 장내 염증을 제어하는 새로운 기전을 밝혀냈다고 17일 밝혔다. 이를 통해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등 염증성 장질환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제공할 전망이다.

염증성 장질환은 대장 등에 생긴 비정상적인 만성 염증이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질환으로 심한 경우에는 장이 막히거나 천공이 생길 수 있다.

염증성 장질환의 원인은 유전적, 면역학적 이상 등으로 추정할 뿐 정확한 원인과 완치 방법이 밝혀지지 않았다. 궤양성 대장염은 그동안 30~40대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에는 20대 환자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때문에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고아 핵수용체 중 RORa(알오알 알파)는 암 발생 및 지방간을 억제하는 역할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염증반응 제어기전에서의 기능은 정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장 특이적 RORa 결핍 생쥐모델을 제작, 장내 염증반응과 RORa의 생리적 기전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했다.

장내 염증을 유도하기 위해 정상 생쥐와 장 특이적 RORa 유전자 결핍 생쥐에 덱스트란 화합물을 먹여본 결과, 결핍 생쥐가 정상 생쥐에 비해 장내 염증이 더 심하게 유도되는 결과를 확인했다. 장내 염증반응을 지속적으로 유도했을 때, 장 특이적 RORa 유전자 결핍 생쥐의 생존율이 정상 생쥐에 비해 심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장에서 RORa가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생쥐의 장내 상피조직을 적출해 R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RORa가 염증반응 촉진 유전자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즉 장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RORa가 염증반응 촉진 유전자의 과도한 활성을 막아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상처가 난 세포 및 조직을 회복시켜 장내 항상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0월 1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