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철도硏, 침하된 콘크리트궤도 급속보강 기술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콘크리트궤도 노반 급속보강 공법 개념도.[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15일 경북 영주 동양대 콘크리트궤도 시험장에서 ‘콘크리트궤도 노반 급속보강 및 침하복원 기술’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열차가 운행하지 않은 3~4시간 이하의 짧은 시간을 활용해 궤도를 받치고 있는 하부의 노반을 급속보강하고, 침하된 궤도를 원래 높이로 복원하는 콘크리트궤도 유지보수 공법이다.

콘크리트궤도는 2010년부터 국내에 도입돼 본격적으로 적용됐다. 기존 자갈궤도에 비해 내구성이 커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궤도를 받치고 있는 하부 노반이 불량해 침하가 발생하면 복구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철도연은 콘크리트궤도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새로운 장비를 개발했다. 콘크리트궤도 위를 이동하면서 1분에 8m 이상 깊이로 천공해 궤도 아래의 노반을 효율적으로 보강한다. 다양한 토질의 층으로 이루어진 철도노반의 특성에 따라 2가지 이상의 보강재료를 동시에 주입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콘크리트궤도와 노반 사이에 급결 콘크리트를 고압으로 주입, 궤도를 원래 높이로 들어 올리는 침하 복원공법을 함께 개발했다.

철도연은 오는 11월, 전라선 전주~신리 구간에 적용, 영업운행선에서 성능검증을 완료할 예정이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개발된 콘크리트궤도 노반 급속보강 및 침하복원 기술은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인 유지보수 기술이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첨단철도기술이 국내 및 해외철도시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