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KT, 쏠리드·모반디와 함께 28GHz대역 ‘5G 빔포밍’ 기술 개발 성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모반디 연구소에서 KT 연구원들이 타 연구원들과 28㎓ 대역 5G 빔포밍 기술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제공 | KT


[스포츠서울 김민규기자]KT가 쏠리드, 모반디와 함께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 얼라이언스의 개방형 기지국 규격을 지원하는 28㎓ 대역 5G 빔포밍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빔포밍 기술은 원하는 사용자에게 전력을 집중해 빔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28㎓ 대역에서 커버리지 확장과 속도 향상을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5G(5세대 이동통신) 핵심 기술이다.

그동안 글로벌 기지국 제조사별로 빔포밍 기술 절차가 다르게 구현돼 디지털 장비와 무선 장비의 상호연동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 동일 제조사의 장비 간에만 제한적으로 적용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KT의 28㎓ 빔포밍 솔루션은 복잡한 빔포밍 연동절차를 O-RAN의 개방형 기지국 규격을 기반으로 표준화했다. 서로 다른 기지국 제조사에서 만든 디지털 장비와 무선 장비간에서도 빔포밍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들도 빔포밍이 지원되는 다양한 형태의 무선 장비와 안테나 개발이 가능해졌다는 것이 KT 측의 설명이다.

이번 개발에 성공한 KT의 28㎓ 5G 빔포밍 솔루션은 국내 중소기업인 쏠리드가 KT의 개방형 5G 기지국 규격이 반영된 무선 장비 개발을 담당했다. 미국의 5G 스타트업 기업인 모반디는 KT의 개방형 연동규격을 기반으로 28㎓ 5G 빔포밍 안테나 기술을 무선 장비에 탑재했다. 이렇게 개발된 빔포밍 기술은 옥외 용도로 개발된 기존 28㎓ 무선 장비와는 달리 기존 5G 인빌딩 중계기 장비와 연동 기능도 지원해 실내 공간에서도 빔포밍 서비스가 가능할 예정이다.

앞서 KT는 10월 초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모반디 연구소에서 시연을 진행, 5G 최소 전송 단위인 0.000125초마다 원하는 사용자에게 빔을 형성해 제공함으로써 28㎓ 대역에서 5G 커버리지를 기존 대비 약 2배 이상 확장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기술은 이달 22일부터 24일까지 개최되는 ‘MWC 2019 로스앤젤레스’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이선우 KT 융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장(상무)은 “개방형 기지국의 도입은 국내 5G 에코시스템을 활성화해 무선 네트워크의 혁신을 앞당기고 다양한 기업의 필요에 특화된 5G 기업용 솔루션을 제공해 줄 수 있다”며 “앞으로도 KT는 국내 중소기업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28㎓ 대역에서도 세계최고 5G 기술을 계속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지난해 6월 설립된 O-RAN 얼라이언스에 이사회 멤버로 참여해 개방형 기지국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주도함과 동시에 개방형 기지국 장비 개발과 연동시험을 활발히 진행해 오고 있다. 앞으로도 KT는 그동안 확보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국내 5G 개방형 기지국 표준화를 주도해 중소기업과의 상생 협력 기반을 확보는 물론 국내 5G 경쟁력 강화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kmg@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