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주 쪽샘서 1500여년 전 토기에 새긴 신라 행렬도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경주 쪽샘에서 1500여년 전 토기에 새긴 신라 행렬도가 발견됐다. 행렬을 주제로 기마·무용·수렵을 묘사한 복합 문양은 현재까지 신라 회화에서 확인된 바 없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2014년부터 쪽샘(샘물이 맑아 쪽빛을 띤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 44호 적석목곽묘(돌무지덧널무덤) 발굴조사에서 신라 행렬도가 새겨진 토기와 말문양이 새겨진 토기, 44호 제사와 관련한 유물 110여점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뉴스핌

마갑 전면 합성사진 [사진=문화재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행렬도가 새겨진 토기는 44호 호석(무덤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해 돌로 만든 시설물) 북쪽에서 파손된 상태로 출토됐다. 전체 높이는 약 40cm의 긴목항아리(장경호)로 추정되며 그릇 곳곳(경부, 견부, 동체부)에 다양한 문양이 새겨져 있다. 1단과 2단, 4단에는 기하학적 문양이 반복돼 있고 3단에는 다양한 인물(기마·무용·수렵)과 동물(사슴·멧돼지·말·개)이 연속으로 표현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문양의 전체 구성으로 보아 행렬도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출토 정황상 제사용 토기로 제작돼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행렬도를 구성하는 여러 표현들은 고구려 고분벽화의 내용 구성과 유사해 신라·고구려 대외관계 연구에도 적극 활용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뉴스핌

문양 추정 복원 전개도 [사진=문화재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별도로 말 문양은 발형기대(그릇 받침대)의 다리 부분으로 추정되는 토기 조각 2점에서 확인됐다. 말이 새겨진 문양은 총 2개체로 말 갈기, 발굽, 관절 뿐 아니라 갑옷을 입은 모습까지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됐다. 현재까지 발견된 토기에 새겨진 말 문양 중 회화 표현이 가장 우수한 사례다.

이외에도 44호 호석 주변에서 대호를 포함한 다양한 기종의 제사 유물이 110여 점 출토됐다. 아홉 점의 대호는 호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됐고 내부와 외부에서는 굽다리접시(고배), 뚜껑 접시(개배), 토제악기(토제훈), 토제방울(토령) 등 소형 토기들이 확인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조사 결과 시차를 두고 몇 회에 걸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적석목곽묘 호석 주변에서 이뤄진 제사의 양상과 내용에 대한 양질의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89hklee@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