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배우자...독·일 등 연구단 방문 '러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경기도청을 방문한 독일 기본소득 연구단이 조계원 도 정책수석(왼쪽 첫 번째)과 환담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청책 연구 및 추진 경험을 배우기 위해 독일, 일본 등 '복지선진국' 석학 및 전문가들이 차례로 경기도를 방문한다.

마누엘 프란츠만 독일 킬대학 교수를 단장으로 마인츠대, 뉘른베르그대, 코플렌츠대 연구진 등 5명으로 구성된 '독일 기본소득 연구단'은 15일 경기도청과 경기연구원을 방문해 '청년기본소득' 정책을 추진한 도 관계자 및 국내 기본소득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조계원 도 정책수석을 비롯, 이한주 경기연구원장, 김호균 교수(명지대), 안효상 기본소득 네트워크 상임이사 등 기본소득 정책 관계자와 독일 기본소득연구단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독일 기본소득연구단은 '청년기본소득' 정책 추진배경 및 현황, 정책 추진 과정에서의 어려움, 향후 개선과제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던지며 청년기본소득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독일 연구단은 '2019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제19차 기본소득 세계대회'에서 진행한 경기도 정책사례발표 등 기본소득 확산을 위해 민선 7기가 쏟고 있는 노력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다음달 15일에는 일본 대표단이 '청년기본소득' 정책 연구를 위해 경기도를 찾는다. 일본 대표단은 지난 8월 열린 '제19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에서 일본대표로 발표자로 나섰던 타다시 오카노우치 교수(호세이대)를 주축으로 기본소득 전문가와 학생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앞서 도는 8월 인도 하이데바라드 날사법학대에서 열린 '제19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대회에서 '기본소득 아이디어가 구체적인 정책실행으로 옮겨지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지'라는 주제의 기조발제를 진행, 전 세계의 석학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에 룰라 대통령과 함께 브라질 시민기본소득법 제정에 앞장선 에듀아르도 마타라쪼 수플리시 브라질 상원의원(노동자당·상파울루주)을 비롯해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우간다, 오스트리아, 스위스, 대만, 미국, 스리랑카, 인도 등 세계 기본소득 전문가 및 정치인들이 '청년기본소득'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관련 자료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도는 영문으로 번역한 경기도 기본소득 정책 자료를 동영상으로 제작,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에 전달하고 각국 참가자들에게 전달하는 등 '기본소득 정책' 알리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내년 2월 '2020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를 개최, 국내외 석학들과 기본소득에 관한 글로벌 정책 어젠다를 논의할 예정이다.

조계원 도 정책수석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로 많은 국내외 석학들이 기존 선별복지와 다른 새로운 복지 패러다임으로 '기본소득'에 주목하면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국가 석학들과의 지속 교류를 통해 경기도가 세계 기본소득 흐름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정희기자 jhak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