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삼성서울병원 "위암 환자, 유전체 분석 기반 맞춤 치료 효과 입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삼성서울병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전이성 위암 환자 유전체 분석에 기반한 맞춤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삼성서울병원은 혈액종양내과 이지연·김승태·강원기 교수, 병리과 김경미 교수, 소화기내과 이혁 교수 공동 연구팀이 전이성 위암 환자 유전체 기반 개인 맞춤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4년 3월부터 2018년 7월까지 1차 항암화학요법을 마친 전이성 위암 환자 772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환자 유전체 정보뿐 아니라 단백질체 등 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소를 고려하도록 다중오믹스 방식으로 환자를 분석했다.

또 환자 치료에 필요한 약물을 정확하게 짚어 내기 위해 엄브렐러 임상시험(Umbrella trial)으로 약물을 골랐다. 이 임상시험은 환자에게 어떤 약이 효과가 있을지 수많은 후보 약물을 한 번에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 암치료 기관 MD앤더슨에서 2008년 도입했다.

연구팀은 유전체 분석까지 성공적으로 마친 환자 715명을 대상으로 미리 정한 8가지 생체표지자(바이오마커)에 부합하는 환자들을 추렸다.

선별된 105명에게는 해당 바이오마커에 맞는 약물을 투여하고 나머지 환자 중 2차 치료가 필요하거나 가능한 317명에게는 기존 치료법대로 약물을 투여한 뒤 경과를 지켜봤다. 그 결과 두 그룹 간 생존율은 환자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나 성별, 전이 된 장기 개수 등을 모두 반영하고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존 치료법대로 2차 치료까지 마친 환자 그룹의 중앙 생존값은 6.9개월로 집계됐다. 바이오마커에 따라 치료받은 그룹은 9.8개월로 약 3개월 더 길었다.

병이 악화하지 않은 무진행 생존기간도 바이오마커 치료 그룹이 더 길었다. 바이오마커 치료 그룹의 무진행 생존기간은 5.7개월, 기존 치료법 그룹은 3.8개월이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동안 면역항암제에 반응이 없던 위암에 대해서도 치료 가능성을 엿보는 성과도 있었다. 바이오마커 그룹 환자 중 일부에서 치료 후 면역항암제 치료 대상 기준인 PD-L1 단백질의 발현율 증가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연구를 총괄한 이지연 교수는 "유전체, 면역 염색 등 원스톱으로 암 표지자를 한 번에 분석해 얻은 값을 토대로 맞춤치료 효과를 세계 최초로 입증한 것"이라며 "국내 의료진 힘으로 국내 병원에서 이뤄내 더욱 값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암학회 학술지인 ‘캔서디스커버리’ 최근호에 게재됐다.

장윤서 기자(panda@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