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기 삼성SDI 시스템개발팀장(전무)가 배터리 모듈을 활용해 ESS 화재 방지 대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 한경우 기자] |
삼성SDI가 최대 2000억원을 투입해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 원천 봉쇄에 나선다.
특히 아직 밝혀지지 않은 원인으로 인해 배터리 셀(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기본 단위)에서 발화 현상이 나타나더라도 화재로 번지지 않도록 하는 특수소화 시스템을 개발했고, 이를 자사가 배터리를 공급한 모든 ESS 사이트에 무상 지원한다. 또 새로 출하하는 ESS 배터리에도 이 시스템을 적용할 방침이다.
특수소화 시스템 설치에 더해 기존 민관합동조사단이 밝혀낸 높은 전압으로 인한 배터리 시스템 파괴, ESS 설치 및 운영 부주의 등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는 조치까지 수행하기 위해 삼성SDI는 최대 2000억원의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삼성SDI의 권영노 최고재무책임자(CFO·부사장), 임영호 중대형전지사업부장(부사장), 허은기 시스템개발팀장(전무)는 14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의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기자설명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ESS 화재 방지 대책에 대해 설명했다.
삼성SDI가 이번에 개발한 특수소화 시스템은 배터리 셀에서 발화가 발생하면 소화약품을 뿌려 초기에 불을 잡는 장치와 특정 셀에서 발생한 불로 인한 열이 옆에 있는 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절연재로 구성돼 있다.
허은기 전무는 실제 상황보다 가혹한 한계 상황을 가정한 발화 테스트를 통해 불이 초기에 진화되는 점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실제 삼성SDI의 실험에서 특수소화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은 배터리 모듈 안의 특정 셀에 열선을 이용해 불을 붙였을 때는 모듈이 전소됐지만, 특수소화 시스템을 적용한 모듈은 조기에 진화돼 화재로 이어지지 않았다.
삼성SDI는 이미 설치된 ESS 사이트에 기존에 해오던 안전조치에 더해 특수소화시스템을 설치하는 걸 이달 안에 완료할 예정이다. 권영노 부사장은 "삼성SDI 제품이 장착된 사이트는 국내 1000여곳"이라며 "예상 비용은 대략적으로 1000억~2000억원"이라고 말했다.
다만 삼성SDI는 ESS 화재 원인이 배터리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ESS 화재가 국내에서만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임 부사장은 "해외 운영자들은 오랫동안 전력망을 운영한 경험이 많고, 설치나 운영 과정에서도 법규를 철저히 지키는 걸로 보고 있다. 이게 국내외 해외의 차이"라며 "(수출용과 내수용) ESS 전지 자체에는 아무 차이가 없다"고 강조했다.
ESS 화재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산업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배터리 자체의 문제는 아니더라도 선제적으로 이번 조치에 나섰다는 말이다.
임 부사장은 "작년 5월 이후 1년여동안 배터리의 관점에서 개선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게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뛰었다"며 "(이날 발표한 조치들이) 완료되는 10월 이후가 되면 우리가 겪은 화재와 같은 유형의 화재는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