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말빛 발견] 함께 만들어 가는 우리말/이경우 어문부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어사전이 ‘너무’에 ‘긍정’의 의미도 담게 된 건 2015년. 이해 6월 국립국어원은 “일정한 정도나 한계를 훨씬 넘어선 상태로”로 ‘너무’의 표준국어대사전 뜻풀이를 수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너무 반갑다’, ‘너무 예쁘다’ 같은 예문들도 제시했다. 이전까지는 뜻풀이에 ‘지나치게’라는 말을 넣어 ‘부정’의 의미만을 보였었다. 예문은 당연히 ‘너무 가깝다’, ‘너무 많다’ 같은 것들이었다.

대중들은 더 오래전부터 ‘너무 예쁘다’ 같은 말을 자연스럽게 썼다. 불편해하지 않았고, 이렇게 쓴다고 오해하지도 않았다. 그대로 긍정적인 상황으로도 의미를 넓혀 갔다. 국어원은 단지 표준국어대사전에 이 내용을 온전히 반영한 것일 뿐이었다. 언어를 만들어 가는 주체는 대중이기 때문이다. 일상의 언어는 이렇게 대중들의 ‘자연스러운 합의’로 이뤄져 간다. 국가나 특정 기관, 단체가 새로 만들거나 규정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려 해도 대중의 동의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저널리즘언어는 여기서 일하는 이들이 만들어 간다. 정치언어는 정치권에서 대부분 내놓는다. 행정언어는 국가기관 등에서 유통시킨다. 이 언어들의 품격이 다 같이 올라야 국가의 격도 같이 그렇게 간다.

wlee@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