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흥미진진 견문기] 조선 왕조의 얼 곳곳에… 손길마다 전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김윤정 서울도시문화지도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창덕궁 돈화문 단청의 울긋불긋한 색상이 가을과 잘 어울렸다. 최서향 해설사의 단아한 개량한복 차림이 투어에 고운빛을 더하는 듯했다. 돈화문의 서쪽에 위치한 금호문은 대신들이 드나들었던 문인데 일제치하엔 독립지사 송학선의 의거가 있었던 곳이다. 송학선은 안중근 의사를 숭배하며 사이토 총독을 암살하려다 실패하고 순국했다.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된 은덕문화원으로 향했다. 정문으로 들어서기 전 ‘싸롱 마고’라는 독특한 명패가 흥미롭게 눈길을 끌었다. 예전 김지하 시인이 이곳에서 많은 교류를 가졌다 하니 나중에 꼭 따로 방문해 보고 싶었다. 가을바람에 흔들리는 풍경소리와 계단에 흐드러지게 가득 펴 있는 안개공작이 은덕문화원의 청아한 아름다움을 더 돋보이게 했다.

원서동 빨래터로 이동하는 길에 궁의 담장 건너편 쪽으로 빼곡히 들어선 빌라들이 궁과 참 안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담장 길을 따라 눈을 사로잡는 단아하고 고운 한옥들이 궁중음식연구원, 무형문화재 거주지, 공방 등의 이름으로 시선을 사로잡았다. 원서동 빨래터는 ‘한양의 3대 빨래터’로 꼽히는데 그 이유는 빨래가 아주 깨끗이 잘됐고, 아마도 궁에서 쌀겨의 세척물이 흘러나와 효과가 좋았을 거라는 해설이 궁금증을 풀어 줬다.

다음으로 중앙고등학교의 넓고 고즈넉한 교정을 지나면서 창덕궁 후원의 신선원전을 내려다봤다. 이곳은 조선 왕 12명의 어진이 봉안됐으나 한국전쟁 때 대부분 불타고 영조의 어진만 온전하게 남아 있다고 했다. 전쟁은 어디에서든 없어져야 한다는 생각에 마음이 무거워졌다. 옛 성균관을 품은 성균관대학교를 지나 창경궁에서 성균관으로 향했던 북문인 집춘문 터, 과학의 문을 지나 월근문에 다다랐다. 월근문은 매달 초하루 정조가 부모인 사도세자와 헌경왕후의 위패를 모신 경모궁으로 가기 위해 통과했던 문이라 했다. 마지막으로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에 이르렀다. 정조가 백성에게 쌀을 나눠주고 그 이행을 살폈다는 해설에 참석자들도 고개를 끄덕이며 거듭 정조의 덕을 되새겼다.

김윤정 서울도시문화지도사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