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네이버, 클라우드 시장 페이스북·아마존에 도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페이스북, 아마존 등 정보기술(IT) 공룡들의 글로벌 데이터·클라우드 시장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네이버가 도전장을 냈다. 네이버 비즈니스 플랫폼(NBP)은 국내 클라우드 사업자 중 최대인 10개의 글로벌 리전(서비스 대상지역)과 거점을 확보했다고 9일 소개했다.

전날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열린 ‘네이버 커넥트2020’ 세션에 참여한 NBP 임태건 클라우드 세일즈 리더는 “아마존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모두 클라우드를 중요한 신사업으로 정했고 올해부터 국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다수의 외국계 클라우드 사업자가 리전을 설치하는 등 각축을 벌이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어 “NBP도 10개 해외 리전과 거점을 확보하고, 국내 클라우드 사업자 중 최초로 국제기구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남아 SaaS 1위 업체인 데스케라와도 계약을 맺었다”면서 “이는 글로벌 표준 인증을 다수 획득한 것과 한 차례의 보안 사고도 없이 인프라를 운영한 안정성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자신했다.

NBP는 도미노피자, 이디야, 나이키 등이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채택했다고 소개했다. 이 유통기업들은 크리스마스와 신제품 출시, 할인 이벤트 같은 이슈로 트래픽이 몰릴 때마다 서버다운 현상을 겪었지만,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채택한 뒤 이런 현상에서 해방됐다. 특히 도미노피자는 챗봇을 활용한 주문 서비스를 활용 중이다.

네이버와 라인을 운영한 역량을 살려 NBP는 국내외 고객사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한편 다양한 인공지능(AI) 활용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2017년 22개로 시작한 상품수를 매달 5개 이상씩 늘려, 현재 132개 라인업을 갖췄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