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5 (수)

옛 항만을 되살리는 르네상스 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시-한겨레통일문화재단 공동기획]

‘항만 르네상스’ 현장을 가다

개항 100년 전국서 항만 재생 박차

시설 낡고 물동량 증가 감당 못 해

부산항·인천항·거제항 등 항만 19곳

역사문화거점형 등 2020년까지 착공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근현대 성장을 이끌어왔던 전국 항만에서 잇따라 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1876년(고종 13년) 조선과 일본이 체결한 강화도조약에 따라 국내 최초의 무역항인 부산포가 개항하고 140여년 만에 항만이 새롭게 살아나고 있는 것이다.

8일 해양수산부와 자치단체의 말을 종합하면, 외국과의 무역을 위해 왕래하는 선박이 입출항하는 전국 무역항 31곳과 국내항을 운항하는 선박이 입출항하는 연안항 29곳 가운데 19곳이 2020년까지 재개발에 착수 또는 준공할 예정이다. 시설이 낡고 공간이 부족해 갈수록 늘어나는 물동량을 감당하지 못하는데다 컨테이너 선박을 유치하는 신항만에 밀리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의 항만 재생 계획은 크게 도심기능 복합 거점형, 해양산업·물류 거점형, 해양관광·여가 거점형, 역사·문화 거점형 등으로 나뉜다. 항만만 되살리는 토건주의적인 재개발이 아니라 성장 동력이 떨어진 지역경제가 활력을 되찾는 계기로 삼고자 지역 특색과 여건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개발하려 한다. 이른바 ‘항만 재생’이다.

일부에선 재개발의 방향을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한쪽은 상업·업무시설 위주의 건물을 지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다른 쪽은 재개발을 하더라도 항구의 역사와 정체성을 보전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역사와 전통의 계승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강동진 경성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항만은 역사성, 지역성, 경관성, 매력성, 보행성 등에 대한 존중과 수용, 조화가 필수적으로 고려돼야 한다. 특히 옛 항만의 흔적과 기억을 보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가 기간시설이라 접근조차 쉽지 않았던 기존 항만에서 시민들이 아무 때나 산책할 수 있는 항만으로의 변화도 필수적이다. 항만을 국가의 품에서 시민의 품으로 돌려줘야 한다는 의미다.

한겨레통일문화재단과 부산시의 공동기획 ‘항만 르네상스―현장을 가다’는 부산 북항, 인천 영종도, 경남 거제시 고현항, 전남 목포항 등 국내 항만 4곳의 재생사업을 들여다보고 항만 재생에 성공한 영국·독일·네덜란드·스페인 등 외국 사례를 통해 바람직한 항만 재생의 방향을 탐색한다. 그 여정을 국내 최초의 무역항이자 식민지와 한국전쟁의 흔적을 간직한 부산항에서 시작한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동영상 뉴스 ‘영상+’]
[▶한겨레 정기구독] [▶[생방송]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