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한전 적자 심화” vs “설립 반대는 정치쇼” 한전공대 파열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야당, 대학 설립 막는 법 발의하자

여당·지역 “지역갈등 조장” 반발

법인 창립총회 마쳐 “2022년 개교”

지역인사 80명 지원협의체도 출범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오른쪽)이 김영록 전남지사(가운데)와 지난 7월 나주 빛가람전망대에서 한전공대 부지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25일 오후 전남 나주시 빛가람혁신도시 내 한국전력 본사. ‘한전공대 설립을 위한 비전선포’ 행사에 참석한 김영록 전남지사가 단상에 올랐다. 김 지사는 “한전공대는 나주 에너지밸리를 세계 최고의 에너지신산업 허브로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한전공대의 비전선포와 함께 광주·전남 범 시·도민지원위 출범식을 겸해 열렸다. 지원위는 2022년 3월 개교 예정인 한전공대가 무난히 설립될 수 있도록 돕는 지원협의체다. 총 80명인 지원위는 광주·전남 지역 대학 총장들과 도의원, 상공회의소 회장 등을 중심으로 꾸려졌다.

국내 첫 융·복합형 에너지 특화대학인 한전공대 개교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정치권을 비롯한 일부 반대 여론 속에서도 전담 지원조직 구성과 법인 창립총회 절차 등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

한국전력은 7일 “한전공대 설립을 지원할 지원위가 출범한 데 이어 지난달 27일에는 법인 창립총회가 열렸다”고 밝혔다. 창립총회는 이사회 구성과 정관 등을 의결함으로써 대학 법인을 설립하는 첫 단추를 꿰는 자리다. 이날 창립총회에서는 초대 이사장인 김종갑 한전 사장과 7명의 이사로 법인 이사회를 꾸렸다.

한전 측은 법인 창립총회를 마친 만큼 곧바로 교육부에 학교법인 설립을 신청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3개월 내로 이를 처리하게 돼 있어 올해 안에 법인 설립 작업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보

한전공대 조감도.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한전공대는 2014년 나주에 둥지를 튼 한전 측이 세계적인 에너지 특화 대학을 만들 목적으로 추진됐다. 한전공대 설립비는 2025년까지 총 6210억 원(부지비 1670억원 제외)이며, 매년 641억 원의 운영비가 투입된다. 2050년까지 전력·에너지 분야 글로벌 ‘톱 10’ 수준의 공과대학을 만드는 게 목표다.

대학은 빛가람혁신도시 내 40만㎡ 부지에 2022년 3월까지 1단계 준공을 거쳐 14만6000㎡를 중심으로 우선 개교한다. 2022년부터는 연구시설 단지 40만㎡가 조성되는 가운데 전남도와 나주시의 주도로 산학연클러스터 40만㎡를 구축한다. 대학 규모는 학부생 600명, 대학원생 400명 등 1000여 명에 교수진은 100여 명에 달한다.

한전공대 설립이 본궤도에 올랐지만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일부 정치권에서는 여전히 반대한다. 최근 곽대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한전공대 설립 및 운영을 막는 법안을 발의한 게 대표적이다. 한전이 지난해 208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6년 만에 적자로 돌아선 데 이어 올 상반기에도 9285억원의 영업적자를 낸 것을 겨냥한 법안이다. 지난 6월에는 일부 한국당 의원들이 한전공대 설립에 유감을 표명하며 한전 본사를 방문하기도 했다. 이들은 “적자운영 중인 한전이 막대한 대학 설립비용과 운영비를 투입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한전의 총 누적부채가 122조원(부채비율 160%)에 달한다는 점 등을 이유로 한전공대 설립을 반대해왔다.

지역에서는 한전공대가 예정대로 설립될 것으로 보고 있다. 손금주 더불어민주당 의원(나주·화순)은 곽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을 정치쇼로 규정하며 한전공대 설립 동참을 촉구했다. 손 의원은 “한전공대는 대한민국 에너지 분야의 미래를 위한 핵심 국정 과제”라며 “통과 가능성도 없고 실효성도 없는 정치 행위로 지역갈등을 조장할 것이 아니라 다 함께 힘을 모아주기 바란다”고 했다. 한전공대 범 시도민 지원위도 지난 6일 성명을 통해 “최근 일부 국회의원들이 한전공대 설립을 반대하는 법안을 발의하고 반대 성명도 발표했다”며 “이는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위해서도 절대 바람직하지 않은 처사”라고 했다.

나주=최경호 기자 choi.kyeongho@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