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삶의 향기] 용은 개천이 아니라 알에서 태어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교육 = 계층이동 수단’ 강조돼

이제는 윤리적 역할 수행해야

타인 올라서기 위한 발판 아닌

나란히 설 수 있는 지반돼야

중앙일보

이혁진 소설가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을 들을 때마다 난 정말이지 너무 당혹스럽다. 개천에서 나든, 하천이나 바다에서 나든 중요한 것은, 용은 알에서 태어난다는 사실이다. 교육이 태생을, 재능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는가? 리오넬 메시는 바르셀로나 유소년팀에 진학한 것이 아니다. 이강인도 발렌시아 유소년팀에 고시를 보고 들어간 것이 아니다.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대치동 일타 강사를 만나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한 것도 아니고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연아가 고려대를 나와서 그런 연기를 보였던 것도 아니다.

더 일반적인 예를 들어보겠다. 2차 세계대전 ‘맨해튼 계획’의 물리학자들, 알버트 아인슈타인을 필두로 로버트 오펜하이머, 닐스 보어, 폰 노이만, 리처드 파인먼까지 모두 정규 교육에 속한 자들이다. 현대 과학에 독보적 족적을 남겼다지만 그자들이 한 것은 감당 불가능한 핵무기를 통제 불가능한 권력자들에게 넘겨준 것이었다. 그 결과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는 원자폭탄이 떨어졌고 최소 15만명이 죽어나갔다. 대부분은 민간인이었다. 번쩍하는 섬광과 함께 용의 불길에 타서 재가 되고 만 것이다.

일반적 예를 든다더니 오히려 더 멀리 나간 거 아니냐고 비난할지 모르겠다. 용이라는 비유를 너무 거창하고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거 아니냐고 되물을지도. 하지만 난 도리어 이렇게 묻고 싶다. 이 정도도 못 되는데 도대체 누구를 용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해마다 노벨상 발표 전후로 이목을 집중하고 뻔한 결과에 실망하고 자성의 목소리를 높이는 것은 한국사회 역시 용의 출현을 간절히 바라고 필요로 하기 때문 아닌가? 그리고 그 소망과 염원에도 불구하고 걸핏하면 개천에서 났고, 앞으로도 계속 나야 한다는 그 용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한국 사회의 용이란 그 정도밖에 안 되는 것이다. 왜인가? 한국사회에서 개천의 용이 용으로서 홀로 날아오를 수 있는가? 개천이 아닌 낙동강이나 동해에서 난 용보다 더 대접받을 수 있는가? 한국사회에는 용보다 용의 지위, 용의 부동산이 먼저 있다. 너무 높고 값비싸 어지간한 용은 날아올라 갈 수도 없는. 게다가 이미 꽉꽉 들어차 있기까지 하다. 용인 척하고 싶거나 자기가 정말 용인 줄 알거나 한때 용이었다가 스스로 전락한 이무기 떼로. 운 좋게, 혹은 무수한 희생으로 얻은 그 지위를 지키고 세습하려 뒤로는 온갖 편법과 탈법을 자행하면서 앞에서는 뻔뻔스럽게 너희들도 용이 되어보라고, 시키는 대로 하면 자기처럼 용이 될 수 있다고 말하는 자들, 젊음과 재능을, 수많은 용을 자신과 똑같은 이무기 떼로 양식하고 회 쳐 먹으려는 자들.

고로, 개천에서 용이 나야 하니 말아야 하니 하는 말들은 모두 허황하다. 교육이 부와 계급의 세습, 기회의 불균등을 해소하는 창구 역할을 해야 한다는 말도 똑같이 허황하다. 교육의 본질은 교육의 한계를 인정한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 교육은 용 아닌 이를 용으로 만들 수 없다. 재능의 탄생과 발현에 교육은 기꺼이 고개를 숙이며 앞을 내줄 수 있을 따름이다. 동시에 교육은 용의 불길이 초래했거나 초래할 수 있는 오류와 실패를 일깨우고 가르칠 수 있다. 선진교육에서 보편화한 과학의 선용, 전쟁의 부당, 인종과 성별 차별에 대한 부정이 그 예다. 물론 교육은 현실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항상 윤리적이어야 한다. 누군가를 올라서기 위한 발판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나란히 설 수 있는 단단한 지반이어야 한다.

그 본질과 본분을 호도하고 교육을 계층이동의 수단으로 삼은 결과를 이미 보고 있지 않은가? 수많은 젊음과 재능이 엇비슷한 시험준비로 고시원과 열람실에서 낭비되고 있다. 새로운 과학기술, 문화의 발달과 더 긴밀하게 보조를 맞춰야 할 기업들이 근본적인 성장동력을 잃고 있다. 나란히 설 가치는 한줌도 되지 않고 갈라설 차별은 넘쳐난다. 정작 필요한 용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부와 계급의 세습은 제도와 법으로 다스리고 내리쳐야 할 문제다. 기회의 불균등은 단기적으로 편법·불법·탈법적인 부의 이동을 막는다면 상당부분 자연스럽게 해소될 문제다. 장기적으로 교육의 역할이 있기는 하다. 사회적 약자, 소수자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태도가 범주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시 거기까지다.

그러므로 정중히 청하고 또한 조언하건대, 개천에서 용이 나온다는 말을 이제는 정치적 관용구가 아닌 실용적 어구로만 사용하기 바란다. 자기보다 못사는 사람이 성공해 배가 아플 때 하는 한마디. “개천에서 용 났네?” 물론 가만히 듣고 있을 필요는 없다. “그러게, 누가 하천에서도 장어밖에 못 되는 동안.”

이혁진 소설가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