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남양주의 반전"…3기 신도시 후폭풍 넘어 미분양 털기 속도 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3기 신도시 발표로 올 상반기 부동산 시장에 직격탄을 맞은 경기 일부 지역에서 미분양이 빠르게 소진되는 등 시장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통계청과 국토교통부의 미분양주택현황보고를 통해 경기도 지역 내 미분양 물량 월별 추이를 분석해본 결과, 남양주와 성남의 미분양 물량 해소 흐름이 눈에 띈다.

올해 상반기만 하더라도 경기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3기 신도시 발표 여파로 직격탄을 맞았다는 우려가 잇따랐다. 실제 7월 기준 현재 경기도 전체 미분양 물량은 7821가구에 달한다. 작년 12월 경기도의 미분양 물량은 4968가구였는데 올 상반기 미분양이 크게 불어난 것이다.

하지만 경기권 일부 지역에서 미분양 물량이 잇따라 거래되면서 반전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과잉 공급으로 입주 적체를 겪었던 경기 일부 지역이 바닥을 찍은 뒤로 반등하기 시작하면서 미분양 해소에 속도가 났다"고 진단했다.

남양주의 미분양 물량은 2018년 1월 1689가구에서 그해 2월 1773가구에 달했는데 올해 들어 매월 줄면서 가장 최근 집계인 7월말 현재 390가구까지 떨어졌다. 작년 7월까지만 해도 남양주시의 미분양 물량은 1773가구까지 늘었다.

하지만 다음달인 8월 987가구, 9월 830가구, 10월 699가구, 11월 617가구, 12월 558가구로 미분양이 꾸준히 줄었다.

올해 들어선 1월 521가구, 2월 491가구, 3월 450가구, 4월 498가구, 5월 475가구 6월 407가구, 7월 390가구로, 1년 만에 절반 이상 줄었다.

조선비즈

정부가 3기신도시인 ‘왕숙신도시’ 건설을 발표한 남양주시 진접·진건읍 일대 전경. /조선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성남시는 올해 1월 미분양 물량이 401가구였는데 7월 현재 미분양이 하나도 없다. 군포시도 올해 1~6월까지 쌓여있던 일부 미분양 물량이 7월에 모두 해소됐다.

남양주의 경우 3기신도시 계획과 함께 추진하게다고 발표된 교통대책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B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가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남양주 다산동 ‘한화 꿈에그린’은 전용면적 84.9㎡짜리가 지난 1월 4억1000만원에 실거래됐는데 지난달 4000만원 오른 4억500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GTX-B 예타 통과가 호재로 작용하면서 최근 송도, 남양주 등 수혜지역 미분양 물량 해소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평택이나 안성은 신규공급이 이어졌다 보니, 다른 지역에 비해 미분양 적체가 심하다. 경기 평택의 경우 미분양이 작년 12월 857가구였는데 올해 3월 2056가구까지 늘었고 7월 현재 2213가구에 이른다. 안성도 작년 12월 미분양은 1168가구였는데 7월 현재 1111가구로 미분양 소진에 애를 먹고 있다.

고양시의 경우 2015년 1월 미분양이 1528가구에 달했다가 2016년 7월 646가구까지 줄어들며 해소 흐름을 보였는데, 그 이후로는 미분양 소진에 힘들어 하고 있다. 7월말 현재 고양시 미분양은 431가구다.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일부지역의 최근 미분양 해소 현상에는 서울의 집값 급등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최근 수도권 일부 지역의 미분양 해소는 투자 목적보다는 실거주 수요로 이뤄진 것"이라며 "서울 집값이 계속 오르고 있어 서울 접근성이 좋으면서 수도권 교통호재가 있는 지역을 내집 마련의 징검다리로 여기는 수요층이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3기 신도시 주택 공급과 입주가 이뤄지기 시작하면 수도권 부동산 지형이 또 달라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3기 신도시에 주택이 대거 공급되고 입주가 본격화되면 입주 물량이 소화되기 전까지 교통 호재 지역과 아닌 지역, 신축 아파트와 구축 아파트의 집값이 크게 차이를 보이며 시장이 불안할 수 있다"고 말했다.

허지윤 기자(jjyy@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