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상륙

"돼지열병으로 국내 양돈산업 사라질수도…공격적 방역 나서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인터뷰

"초동대응 빠르긴 했지만 과감하진 못했다" 지적

"발병지 10km내 살처분, 차량유입 농가 방역 등 필요"

"ASF 사람 매개로 발병했을 것…접촉 최소화 중요"

이데일리

17일 경기도 파주시의 한 양돈농장에서 방역당국이 농장 주변을 소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첫 확진 판정 이후 우리 방역당국의 초동대응이 신속하긴 했지만 과감하지 못했다며 최악의 경우 한반도 내에 있는 모든 돼지를 죽임으로써 우리 양돈산업 자체를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다.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1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ASF 발병 이후) 우리 정부의 초동대응 자체가 빠르긴 했지만 조금 더 과감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교수는 “현재 경북 칠곡에서도 ASF 확진 판정 여부를 놓고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하는데, 만약 확진으로 나온다면 이미 경기도 외 다른 지역으로 퍼지기 시작했다고 봐야 한다”며 “이렇게 확산된다면 우리 양돈산업은 끝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고려해 좀더 과감하고 공격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현재는 명확하게 반경을 정해놓지 않고 있는데 발병 농가를 기준으로 반경 10km까지 넓히다든지 해서 문제의 소지가 있는 농가 돼지들을 살처분하거나 하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발병한 농장에 들어갔던 차량들이 들어간 모든 농장은 다 방역 대상이 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어쩌면 한반도에서 돼지가 멸종하는 것을 볼 지도 모른다”고 강조했다.

ASF 발병 원인에 대해서는 “경기도만 해도 발병한 농장은 잔반을 사용하지 않는 등 철저하게 예방을 했던 곳이라고 한다”며 “멧돼지나 잔반이 원인이 아니라면 사람이 매개체가 됐을 것으로 봐야 한다”고 해석했다. 그는 “이 바이러스는 얼리거나 염장해도 1년 이상 죽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일하게 죽일 수 있는 방법은 75도 이상 열을 가하는 것뿐”이라며 “치료제도 없는 현 상황에서는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길”이라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어디에서 처음 유래했느냐도 중요하지만 더 이상 퍼지지 않도록 하는 게 더 중요하다”며 “지금 상황에서 가장 선제적으로 막아야할 부분은 이미 발병한 농장 인근에서 바이러스가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