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내년 인구주택총조사 때 국내에서 처음으로 '반려동물 조사'가 실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 반려동물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2020 인구주택총조사에서 관련 질문을 삽입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오늘(12일) "내년 조사에 앞서 올해 11월로 예정된 '시범 예행조사'에 반려동물 관련 질문을 넣었다"며 "여기서 유의미한 수치가 나오는지 점검한 뒤 내년 본 조사에 포함할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앞서 통계청은 올해 6월 진행된 3차 시험조사에서도 반려동물 관련 질문을 넣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통계청이 고려하는 질문은 반려동물을 기르는지, 반려동물을 사육한다면 개·고양이·기타 등 어떤 종류인지 등의 내용입니다.
'반려동물 인구 1천만 명' 시대에 접어들었지만, 정부 차원에서는 국내의 반려동물이 몇 마리인지 정확한 규모가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관련 정책을 입안하려고 해도, 기초 자료인 동물 마릿수조차 파악이 안 된 형편입니다.
물론 반려동물 규모를 어림잡을 수 있는 국가 통계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매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보고서'를 내놓는데, 여기에 반려동물 사육 가구 비율이 포함돼 있긴 합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대강의 반려동물 사육 규모를 추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곤 했습니다.
실제로 검역본부의 2017년과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 비율은 2017년 28.1%에서 지난해 23.7%로 떨어졌습니다.
'반려동물 붐'과는 정반대로 수치가 움직인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보고서의 조사 대상과 모집단 수는 2017년 5천 명, 2018년 2천 명 등으로 해마다 다르고 표본 자체가 수천 명에 그쳐 우리나라 동물 반려 문화의 실태를 파악하기 역부족이라는 지적입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금은 동물 보호에 대한 견해를 묻는 조사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가'는 질문을 함께하는 구조인데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조사와 반려동물 마릿수 조사가 분리돼야 한다"면서 "전자는 정책적 수요와 문화 수준을, 후자는 마릿수를 조사하는 등 그 취지부터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물론 인구주택총조사 역시 전 국민의 20%를 대상으로 하는 표본조사이지만 모집단이 1천만 명이 넘는 큰 조사인 만큼, 신뢰도와 정확도 측면에서는 '동물보호 국민의식 조사'와는 차원이 다르다는 설명입니다.
정부는 내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반려동물 관련 질문이 포함돼 실제 조사가 이뤄진다면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픽사베이)
진송민 기자(mikegogo@sbs.co.kr)
▶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 [기사 모아보기] 조국 법무부장관 의혹 수사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