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 수행 위한 부모님 체력 체크하고, 가족들의 적극적인 응원과 지지 필요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스포츠개발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평소 주당 150분 이상 운동을 실천하는 노인비율은 남녀 각각 50.9%, 43.5%로 나타났다. 하루 30분씩 주 5회 꾸준하게 운동하는 노인은 2명 중 1명인 셈이다. 꾸준한 운동은 관절?척추질환 예방은 물론 각종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발병위험을 낮춰주지만 이를 실천하는 노인은 절반에 불과한 것이다.
◇ 노년층 체력 떨어지면 일상생활 적신호
나이가 들면서 부모님의 체력이 떨어지게 되면 생활하는데 꼭 필요한 가사업무를 하는데도 불편을 겪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17년 65세 이상 1만2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다른 일상적인 업무와 비교했을 때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 교통수단 이용하기 등 다소 체력을 요하는 활동에서 상대적으로 자립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아래 표 참조) 일상생활이 힘들면 우울감과 함께 신체건강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으니 부모님의 체력이 어느 정도인지 반드시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65세 이상 노인의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항목별 분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자립 가능한 체력’은 어느 정도? 부모님 체력 확인해보려면
부모님 연세에 자립이 가능할 수 있는 체력이 어느 정도인지 기준을 정하기 어렵다면 집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노인기 자립생활을 위한 적정 일상생활체력 분별점’(아래 표 참조)을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
노인기 자립생활을 위한 적정 일상생활체력 분별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스포츠개발원에서 발표한 보고서 <한국 성인 및 노인의 건강체력 기준 제시> 중 노년층 자립생활을 위해 필요한 적정 일상생활체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서기 횟수’, ‘의자에 앉아 3m 표적 돌아오기’, ‘6분 걷기’ 등을 통해 간단하게 연령별 체력 검사가 가능하다. 일례로 30초 동안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는 횟수가 65세~69세의 경우 남녀 각각 18회, 17회 정도를 적정 체력으로 보고 있다. 만약 그 횟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노인 스스로 자립하기 위한 적정 체력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부모님께 꾸준한 운동을 권해드려야 한다.
◇자녀의 응원은 부모님 건강의 힘? 지속적인 지지 보내야
부모님의 체력적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이 중요한 만큼 자녀는 부모님이 실천할 수 있는 운동법을 알려드리고,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처음부터 고강도의 운동은 오히려 피로를 가중시키고,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으니 처음에는 가벼운 강도로 10분 정도 실시한 후 운동시간과 강도를 서서히 늘려나가도록 한다. 연세 많으신 부모님들은 주로 무릎관절염을 앓고 있기 때문에 맨손체조를 비롯, 평지걷기나 계단 오르기, 수영, 고정식 자전거 등 무릎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근력을 강화시켜주는 운동이 좋다.
여기서 무엇보다 중요한 자녀의 역할은 부모님의 운동을 꾸준히 체크하고 응원하는 것이다. 65세 이상 퇴행성관절염 노인의 운동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에 따르면 가족과 친구들의 응원과 지지가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님의 꾸준한 운동을 위해서는 평소 안부전화를 드리면서 운동량과 횟수를 확인하고, 응원을 통해 자신감을 북돋아드리는 것이 도움이 된다
남창현 목동힘찬병원 원장은 “65세 이상 노인 중 70~80%가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앓거나 발병 소인을 가지고 있는데 평지걷기나 수영 등의 운동을 꾸준히 하게 되면 허벅지 근육을 강화되어 무릎 연골이 받는 부담을 줄여줘 관절염 예방은 물론 진행속도를 늦출 수 있다”며 “무릎이 좋지 않으면 무조건 걷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