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의 두 얼굴
조윤민|372쪽|글항아리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조선 초기 세종은 개국 이념을 담아 왕조의 법궁으로 삼기 위해 경복궁을 중건한다. 최고 명당자리에 궁궐을 지어 왕실의 안정과 왕가 존속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경복궁 중건을 위해 백성은 농번기를 제외하고 밤낮없이 차출됐고, 세금은 급격하게 늘어갔다. 장엄하게 지은 궁궐은 지배자의 권위를 드높이는 상징이었지만, 그 이면에는 민초의 땀과 한숨, 눈물과 피가 어려 있다.
책은 조선시대 권력자들이 지배이념과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건축물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보여준다. 지금 우리가 문화유산이라 부르는 왕릉과 궁궐, 읍치와 성곽, 성균관과 향교, 서원과 사찰 등을 권력자의 ‘통치수단’이란 관점에서 해석한다. 거대한 건축물은 결국 지배층을 결집하고 계급 재생산을 꾀하던 체제 유지의 ‘보루’였다고 설명한다.
더 무서운 것은 그곳이 충실한 백성을 길러내던 교화의 마당이자 통치와 지배에 대한 동조·인정을 끌어내던 헤게모니 전략의 본거지였다는 점이다. 백성의 감정과 사고를 통제하던 ‘본진’이었다. 그렇다고 조선시대 건축의 미와 문화적 가치까지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20년 동안 방송다큐멘터리 작가로 활동한 역사저술가인 저자는 “어쩌면 어두워 보일지 모를, 그 아픈 유산까지 보듬으려 했다”라고 말했다.
‘두 얼굴의 조선사’ ‘모멸의 조선사’ ‘조선에 반하다’를 잇는 ‘지배와 저항으로 보는 조선사 4부작’을 완성한 책이다. 미적·문화적 가치가 아닌, 정치적·사회적 관점으로 조선시대 건축물을 살펴봤다는 점에서 색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