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으로 향하는 조선업계 근로자들의 희비가 엇갈린다. 삼성중공업 노사는 추석 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타결에 성공한 반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해서다. 추석 전까지의 수주 실적도 삼성중공업은 양호한 반면, 나머지 양사는 부진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삼성중공업 노사는 '2019년 임금협상'을 최종 타결했다.
△기본급 1%, 정기승급 1.1% 인상△임금타결 격려금 등 일시금 200만원 및 상품권 50만원△정기상여금 600% 중 300%를 매월 25%씩 분할 등에 합의했다.
수주실적도 나쁘지 않다. 삼성중공업은 이날까지 총 42억달러를 수주해 올해 목표치 78억달러의 54%를 채웠다. 최근 러시아 쇄빙 LNG선 설계 계약도 따내 추후 러시아 조선소와 15척 쇄빙 LNG선 공동 건조에 돌입할 가능성도 높다.
반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은 임단협의 엉킨 실타래를 풀지 못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5월 노사 상견례 후 총 11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진척이 없었다. 이날 추석 전 마지막으로 열린 12차 교섭에서도 접점을 찾지 못했다. 임금과 성과급, 하청노동자 처우 개선 등 쟁점 요구안에 대한 양측 입장 차만 재확인했다.
대우조선도 추석 전 임단협 타결이 무산됐다. 5월 이후 20차례 이상 진행된 교섭에서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지난 5일 열린 교섭에서도 노조는 사측 제시안을 반려했다. 노조는 추석 후 투쟁 강도를 끌어올리겠다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은 해를 넘긴 올해 초 지난해 임단협을 타결했었고 대우조선은 지난해 연말 극적으로 타결했다"며 "추석 이후로도 접점을 못찾을 경우 지난해와 같은 상황이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준 기자 7up@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