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금통위 "금리 동결…완화적 통화정책은 유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민경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 수준(1.50%)으로 동결했다. 글로벌 교역이 위축되면서 성장세가 둔화됨에 따라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은 유지했다. 다음 금통위(10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금통위는 30일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50%에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19.08.30 mironj19@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통위는 미·중 무역분쟁 심화,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향후 성장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졌다고 분석했다. 건설투자 조정과 수출 및 설비투자 부진이 지속된 가운데 소비 증가세마저 약화되면서 성장세도 둔화 흐름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물가는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 등으로 오름세가 0% 중반으로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상승률은 지난 7월 전망경로에 비해 하방위험이 높아져 당분간 0% 초반에서 등락하다고 내년 이후 1%대 초중반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시장에서는 미·중 무역분쟁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른 국내외 경기둔화 우려로 가격변수의 높은 변동성이 지속됐다고 밝혔다. 장기시장금리와 주가가 크가 하락하고 달러/원 환율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뉴스핌

[자료=한국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계대출은 정부규제 등 영향으로 증가세 둔화가 다소 주춤했다. 주택가격은 하락세를 지속했으나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오름세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금통위는 금통위는 국내경제 성장세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으로 밝혔다. 이 과정에서 국내 성장과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주요국 경기와 통화정책 변화,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 전개 상황에 대해 주의깊게 살펴보겠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이날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전문이다.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1.50%)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세계경제는 교역이 위축되면서 성장세가 둔화되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중 무역분쟁 및 이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주요국 국채금리와 주가가 큰 폭 하락하는 등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보호무역주의 확산 정도,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경제는 건설투자 조정과 수출 및 설비투자 부진이 지속된 가운데 소비 증가세가 약화되면서 성장세 둔화 흐름을 이어간 것으로 판단된다. 고용 상황은 취업자수 증가폭이 확대되는 등 일부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미·중 무역분쟁 심화,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성장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물가는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 등으로 오름세가 0%대 중반으로 낮아졌다.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0%대 후반을,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 수준을 나타내었다.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월 전망경로에 비해 하방위험이 높아져 당분간 0%대 초반에서 등락하다가 내년 이후 1%대 초중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근원인플레이션율도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에서는 미·중 무역분쟁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른 국내외 경기둔화 우려로 가격변수의 높은 변동성이 지속되었다. 장기시장금리와 주가가 크게 하락하고 원/달러 환율도 큰 폭 상승하였다. 가계대출은 증가세 둔화가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주택가격은 하락세를 지속하였으나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오름세를 나타내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의 성장세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향후 거시경제와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미·중 무역분쟁, 주요국의 경기와 통화정책 변화,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도 주의깊게 살펴볼 것이다.

cherishming17@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