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韓銀 기준금리 동결…현 1.50% 유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30일 서울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1.50% 수준에서 운용하기로 결정했다.

한은은 지난달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면서 기준금리도 종전 1.75%에서 0.25%포인트 내린 바 있다. 당초 시장의 예상을 깬 3년 1개월 만의 전격 인하였다.

이처럼 한은이 금리 인하 시기를 앞당긴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의 성장이 예상 궤도를 크게 밑도는 상황과 관련이 깊다.

이 때문에 이달에도 한은이 금리 인하에 나서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7월 금리 인하 후 한 달여 기간 대내외 경제에 부정적 요인이 확대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 이후 한일 갈등 관련 경제 불확실성은 한층 커졌고, 미국이 이달 초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미중 무역분쟁도 실마리 풀기에 난항을 겪고 있다.

또 지난 28일부터는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우대국) 제외를 시행함에 따라 우리 수출에도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하지만 한은은 이달엔 금리를 내리지 않았다. 우선 지난달 금리 인하 영향을 모니터링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고, 다음달 미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통화정책 결정도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한 차례 더 내릴 경우 역대 최저 수준인 1.25%까지 떨어지는 것이기에 향후 정책 여력 비축 차원에서라도 ‘카드’를 아껴놓아야 한다는 판단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으로도 두 달 연속 연달아 금리를 내린 적은 IT버블 붕괴와 9·11 테러가 있었던 2001년과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어닥쳤던 2008년 두 차례 밖에 없었다.

이미 이날 동결을 점쳤던 시장은 한은이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가 열리는 10월에 추가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올 통화정책방향 회의는 10월과 11월에 열리는데 11월 인하시 올 성장률에 미치는 정책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어 실기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 22일 국회 현안보고에서 이 총재도 “지난번 업무현황 보고 때 말했듯 거시경제 여건이 아주 악화해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을 때는 당연히 그렇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은 통화정책국도 지난 28일 국회 답변서를 통해 “기준금리 실효하한을 공개할 순 없지만 향후 경제상황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정책 여력은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gil@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