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에 총동원령…성공여부 `촉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자체·정치권·시민단체·대학·주민들 공조 총력 대응

반면 "세종시로 충분" 혁신도시법 개정 부정적 의견도

이데일리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정치·외교·안보·통일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의원들의 질의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DB

[대전·홍성= 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가 혁신도시 지정을 위해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 이들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은 혁신도시 지정을 통해 수도권에 있는 120여개의 공공기관은 물론 기업 유치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함께 인구 유출을 차단하겠다는 포석이다.

우선 대전시는 29일 ‘혁신도시 범시민 추진위원회’ 발대식을 개최했다. 200여개의 시민사회단체와 19개 대학, 정치권, 대전시와 대전시의회, 5개 자치구 등으로 구성된 혁신도시 추진위는 대전이 혁신도시로 지정될 때까지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대전을 혁신도시로 지정해야 한다는 내용의 100만명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대전택시운송사업조합도 혁신도시 지정을 촉구하는 스티커를 법인택시 3000여대에 부착해 혁신도시 지정 공감대 확산에 나섰다.

이날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역 내 균형발전을 위해 원도심을 활성화 하는 새로운 혁신도시 모델이 필요하다”며 “시민들과 함께 혁신도시를 이뤄내 대전 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충남도 역시 지난 13일 충남 혁신도시 유치 범도민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혁신도시 범도민추진위는 충남 혁신도시 지정 및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민간 차원의 기구다. 위원으로는 충남사회단체 대표자회의 대표자 125명과 지방분권충남연대 대표자 30명, 도내 국회의원 11명을 비롯한 정치계 인사 223명 등 모두 382명이 참여했다.

한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의 경우 2004년 수도권 공공기관 비수도권 이전 계획 당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이유로 혁신도시 지정 대상에서 제외됐다”면서 “지난 2012년 세종시가 충남에서 분리되면서 13만 7000명의 인구가 줄고, 경제적 손실은 25조 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양승조 충남지사는 “충남 혁신도시는 충남만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닌 전국이 골고루 잘사는 기반을 마련하고, 국가 균형발전 정책 실현을 위한 것”이라며 혁신도시특별법 개정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나 대전과 충남을 혁신도시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 의견도 적지 않아 앞으로 혁신도시특별법 개정이 결코 녹록치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수도권 내 공공기관을 유치하기 위해 지역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혁신도시 추가 지정으로 경쟁상대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의 한 정치권 인사는 “영호남과 강원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충청권에는 세종시라는 초대형 국책사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만큼 대전과 충남에 혁신도시를 추가 지정한다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면서 “국토부가 현재 혁신도시에 대한 용역을 진행 중인 만큼 이 용역이 끝나는 내년 이후에야 특별법 개정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이데일리

29일 대전시청사에서 ‘혁신도시 범시민 추진위원회’ 발대식이 열리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