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국내 대기업 절반 “일본 수출규제가 경영에 악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국내 대기업 중 절반은 일본의 수출규제가 경영에 악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기업들은 우선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를 통해 대응하겠다는 방침이지만, 한·일 경제갈등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는 양국 정부간 외교적 타협을 가장 많이 꼽았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1000대 기업(매출액 기준)을 대상으로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일본의 수출규제가 경영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이 51.6%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영향 없음’은 48.4%였다.

또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해 매출액은 2.8%, 영업이익은 1.9% 각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매출에 악영향이 있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했을 경우,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5.7%로 감소폭이 두 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업종별로는 매출액의 경우 일반기계가 -13.6%로 감소폭이 가장 크고 이어 석유제품(-7.0%), 반도체(-6.6%), 철강제품(-3.9%), 무선통신기기(-2.7%) 순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도 일반기계의 감소폭이 -7.9%로 가장 크고, 석유제품(-5.4%), 반도체(-5.1%), 디스플레이(-2.4%), 철강제품(-1.9%) 순이었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영업이익에 악영향이 있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했을 경우, 영업이익 감소율은 평균 3.7%로 나타났다.

한경연 유환익 상무는 “2018년 1000대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5.3%임을 감안할 때, 설문조사 결과대로 영업이익이 1.9% 감소할 경우 업종에 따라 일부 기업들의 적자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기업들의 단기적 대응방안으로는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53.7%), ‘대체 부품소재 물색’(15.9%), ‘일시적 사업축소·긴축경영’(8.5%),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8.0%) 순으로 조사됐다. 장기적 대응방안으로도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가 28.8%로 가장 많았고, ‘부품소재 국산화’(25.0%), ‘대체 부품소재 확보’(14.4%),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11.5%), ‘사업축소·긴축경영’(4.8%), ‘생산설비 해외 이전’(1.4%), ‘인수합병을 통한 부품소재 확보’(0.5%)로 나타났다.

정부의 정책지원 과제로는 ‘대체 수입선 확보 지원’(30.9%), ‘부품소재 국산화 재정지원’(23.9%), ‘피해업종 세제 혜택’(23.0%), ‘화학물질·부품소재 규제 완화’(16.6%) 순으로 나타났다.

대기업들은 한·일 경제갈등 해결 방안으로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이 40.5%로 가장 높았고, ‘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21.9%), ‘미국의 한일 간 중재’(14.3%), ‘국제적 여론 형성’(11.1%), ‘민간기업·경제단체 활용’(6.2%), ‘기업자체 역량에 의한 해결’(5.1%) 순으로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2일까지 실시했다. 접촉된 898개사 중 153개사가 응답해 응답률이 17.0%이고,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7.29%다. 대응 방안 등은 주어진 문항에서 1순위와 2순위를 고르는 방식이었다.

김수미 기자 leol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