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은 14일 올해 2분기 실적이 연결기준 매출 13조710억원, 영업손실(적자) 2986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실적(-6871억원) 대비 3885억원 개선했다.
그래픽=심정보 shim.jeongbo@joongang.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교롭게도 문재인 대통령이 탈(脫) 원전 정책을 추진한 뒤 한전 실적이 적자로 돌아섰다. 2016년 2분기엔 2조7044억원 흑자였다. 그런데 문 대통령 당선 직후인 2017년 2분기 8464억원으로 흑자 규모가 3분의 1로 쪼그라들었다. 그리곤 2017년 4분기 1294억원 적자를 낸 뒤 지난해 3분기를 제외하고 올 2분기까지 모두 적자를 기록했다.
김갑순 한전 재무처장은 “국제 연료 가격이 오르면서 민간 발전사로부터 전력 구매비가 늘었고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석탄발전을 감축한 영향으로 적자를 냈다”고 설명했다.
한전은 다만 적자 폭을 줄인 데 의미를 부여했다. 실적 악화가 탈원전과는 관계없다는 것이다. 근거로 원전이용률이 지난해 2분기 62.7%에서 올해 82.8%로 올랐다는 점을 들었다. 늘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2014년(85%)ㆍ2015년(85.3%) 수준에는 못 미친다. 원전이용률은 연간 최대 가능 발전량 대비 실제 발전량 비율로 가동률(연간 시간 대비 실제 가동 시간)과 비슷한 개념이다.
김 처장은 “철판 부식 등 문제로 가동을 중단한 원전이 정비를 마치고 다시 전력생산을 시작하면서 원전 발전량이 늘었고, 이로 인해 발전 연료비를 3000억원 줄였다”고 설명했다.
적자 행진이 이어진 만큼 전기요금 인상 압박도 그대로다. 김종갑 한국전력 사장은 지난 1월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원가 이하로 판 전기가 4조7000억원”이라며 “연내 ‘전력 도매가격 연동제’(한국전력이 전력을 구매하는 도매가격에 연동해 전기요금 결정)를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온기운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내 전기요금은 세계 주요국과 비교하면 낮게 책정돼 있다”며 “전기를 팔수록 손해를 보는 상황에서 전기요금 현실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1·2분기 실적을 더한 상반기 영업적자는 9285억원이다. 상반기 영업적자는 역대 최대였던 2012년(2조3020억원)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았다. 한전은 3분기부터 실적이 개선돼 하반기 성과는 상반기보다 나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