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中 항공당국 신규 운항 신청 중지 통보
中 신규 취항 준비한 항공사들 잇단 계획 철회
대한항공 인천~장자제 9월 15일 취항 불발
일본 대신 중국 취항 활로 찾던 LCC '울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한·중 하늘길도 꽉 막혔다. 중국 항공당국이 운항 신청을 중지한다고 기습 통보하면서다.
기존에 취항해 운항하던 노선에 대한 영향은 없지만, 중국은 한·중 양국 간에 합의해 운수권을 배분받은 신규 노선을 비롯해 임시편, 부정기편 신규 취항을 막았다.
국내 항공업계는 중국 항공당국의 일방적인 통보로 날벼락을 맞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일본 불매 운동영향으로 일본 노선 운휴와 감편에 나섰던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중국 노선을 대체지로 삼고 노선 재편에 나섰지만, 진퇴양난에 빠지게 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신규 취항 불허 일방적 통보
14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중국 민항국(CAAC)은 전날 오후에 갑자기 공문을 보내 앞으로 신규 운항 신청을 중지한다고 통보했다.
국내 항공사뿐만 아니라 전 세계 모든 항공사의 중국 내 신규 취항을 금지한다는 내용이다. 민항국은 공문을 통해 안전운항을 이유로 들며 최근 운항편을 증량하는 것에 대해 엄격한 통제 요구가 있어 신규 정기편과 임시편, 부정기편 운항신청을 중지한다고 밝혔다. 명시한 기간은 10월 10일까지다.
지난 5월 배분받은 중국 운수권을 활용해 다음 달 중국 노선 신규 취항에 박차를 가하던 국적 항공사들은 중국 항공당국의 일방적인 통보에 날벼락을 맞았다.
대한항공은 인천~장자제(장가계) 노선에 다음 달 15일 주 3회(수·토·일요일)로 신규 취항하려했던 계획을 철회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전날(13일) 중국 항공당국으로부터 운항 신청 보류 통보를 받았다”며 “현재 예약 접수는 중지한 상태이고, 환불 조치 등을 어떻게 할지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티웨이항공도 9월 1일 대구~옌지 노선, 같은 달 2일 대구~장자제 노선 신규 취항 계획을 철회했다. 지난 6일부터 특가항공권 판매 등을 통해 예매를 받았었고, 여행사를 통해서도 패키지 상품으로 판매 중이었지만, 중국 항공당국의 결정으로 타격을 입게 됐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운항 불허 통보로 인해 여행사와 함께 환불 절차 등을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에어서울도 9월 중에 하려던 인천~장자제 노선 신규취항을 10월 이후로 미뤘다. 에어서울 관계자는 “9월 중 취항목표로 준비 중이었는데 갑작스럽게 안전운항을 위해 운항을 제한하겠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당분간은 다른 노선 취항 등으로 사업을 재편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타항공도 인천~정저우, 청주~장자제 신규 노선에 대해 불허 통보를 받았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인천~상하이는 이미 취항해서 운항하고 있는 노선이라 관계없다”며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항공도 부산~장자제, 무안~장자제, 인천~하얼빈 노선에 대해 운항 불허 통보를 받았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이미 취항한 옌지(연길)랑 난퉁 노선은 계획대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항공 중국 노선 현황 및 신규 취항 계획(자료=제주항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상 초유의 사태…日 접고 中 향하던 LCC ‘울상’
이번처럼 중국 항공당국의 일방적인 결정은 중화인민공화국인 공산주의 국가라 가능한 것으로 풀이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운수권이 있어 당연히 신규 취항 허가가 날 줄 알고 준비하던 영업 쪽에서도 멘붕인 상황”이라며 “어느 국가건 일방적인 통보로 이렇게 신뢰를 깬 적은 없는데 중국 노선에 취항 준비 중이던 항공사들은 날벼락을 맞았다”고 토로했다.
국토부에서도 운항중단 이유를 파악하려고나섰지만, 사상상 초유의 사태에 사실상 대책을 세우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른 항공업계 관계자는 “국토부가 중국 항공당국에 공식적으로 항의하는 시늉이라도 해야한다”며 “운수권이 있어도 중국 쪽에서 이야기한대로 따를 수밖에 없어 민간 항공사들 피해만 늘어난다”고 지적했다.
한국과 중국은 2006년 항공 자유화 협정을 체결했지만, 산둥성·하이난성에 한해서만 여객·화물 자유화 협정을 맺는 등 제한적이다. 나머지 지역의 운수권은 논의를 통해 결정한다.
과거 중국은 자국의 항공산업 보호를 위해서 한·중노선 운수권 확대에 보수적이었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DD) 배치 후폭풍이 있기도 했지만, 항공회담이 지난 5년간 열리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다. 2014년 항공회담에서는 신규노선 17개, 기존 노선 12개 운항 횟수 증대 등 규모는 소폭에 그쳤다. 올해 5년 만에 열린 한·중간 항공회담이 성사돼 국토부는 지난 5월 중국 운수권 주 70회와 정부보유 운수권 주 104회를 진에어를 제외한 국내 7개 항공사를 대상으로 배분했다.
중국 신규 취항 불허 사태에 특히 LCC업계가 울상이다. 일본 노선 매출 비중이 30% 이상이었던 국적 LCC는 일본 불매운동으로 타격을 입자 지난 5월 운수권을 받은 중국 지역으로 눈을 돌렸는데 이마저도 불발되면서다. 동남아 등 다른 노선으로 선회해야할 처지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일본에 이어 중국 노선까지 타격을 받게 되면서 노선 포트폴리오 수정에 돌입하는 등 업계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