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매경춘추] CCTV와 도시안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 5월 왕십리역 인근에서 발생한 화재 상황, 좁은 지하 차고에서 검은 연기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다. 긴급한 무선 연락이 이어졌다. 성동구 CCTV통합관제센터에서 화재 영상을 119 종합상황실로 실시간 전송한다. 이를 통해 소방서장은 화재 규모와 상황을 즉시 파악해서 지휘했고 대원들도 휴대폰으로 사고 현장을 확인하며 현장으로 달려갔다. 그래서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작전에 투입될 수 있었다.

같은 달 새벽에 일어난 뺑소니 사고도 마찬가지였다. 성동경찰서와 성동구 CCTV통합관제센터가 밤샘 공조한 끝에 5시간 만에 범인을 검거했다. 치매노인 실종 신고가 접수됐을 때는 인근 CCTV를 집중 가동해 실종자를 1시간 만에 가족 품으로 무사히 돌려보낼 수 있었다.

이처럼 발 빠른 재난 대응이 가능했던 것은 성동구에 촘촘히 설치된 스마트 안전 CCTV 네트워크 덕분이다. 성동구는 전국 최초로 지역 내 주요 거점에 CCTV를 설치하고 경찰과 협업해 지역의 안전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통합관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는 경찰관과 공무원이 24시간 상주하며 각종 범죄, 불법 주정차, 쓰레기 무단투기 예방·단속은 물론이고 늦은 밤 사회적 약자의 안심 귀가를 책임지고 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성동구는 지난 5월 재난안전기금 3억원을 투입해 성동구·성동소방서·성동경찰서 간 스마트 CCTV 영상관제시스템을 완성했다. 성동구 통합관제실은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즉시 소방서와 경찰서에 통지한다. 또한 소방서에서 제공받은 소방안전지도를 활용해 소방차 통행로를 미리 파악하고 1분 1초가 아까운 화재현장 도착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안내한다.

효과는 바로 나타났다. 앞서 말한 것처럼 다양한 안전사고에 대한 대응 속도가 예전보다 더욱 빨라졌다. 그런데 이런 노력의 성과가 단지 스마트 영상기술에 힘입은 결과만은 아니란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와 소방, 경찰이 각자의 정보와 노하우를 독점하려 했다면 CCTV란 첨단기술의 활용도는 지금보다 현저히 떨어졌을 것이다. 세 기관이 조직 간 칸막이를 넘어 수요자인 주민 요구를 중심으로 과감히 공유하고 협업했기 때문에 기술의 효능이 극대화되며 주민 안전을 스마트하게 보살필 수 있게 됐다.

지금 이 순간도 성동구 통합관제시스템 CCTV 2855대는 낮밤을 가리지 않고 지역을 살피며 견고한 안전망을 가동 중이다. 더불어 지자체, 경찰, 소방은 주민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사전에 탐지하고 조기에 진압하기 위해 모두 한마음 한뜻으로 뛰고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