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3기 신도시 영향인가.. 수도권 미분양 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월보다 많은 1만1608가구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두달 연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달 서울의 미분양 주택은 올 5월 대비 30% 넘게 급감했다. 서울 광진구의 미분양 물량이 해소되면서다.

국토교통부는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5월보다 1.5%(964가구) 늘어난 6만3705가구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4월 6만2041가구에서 5월 6만2741가구로 1.1% 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6월 들어 증가 폭이 더 커지면서 2개월 연속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5월(1만8558가구)보다 0.7%(135가구) 늘어난 1만8693가구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미분양이 1만1608가구로 전월(1만218가구) 대비 13.6%(1390가구) 늘었다.

반면 6월 말 현재 서울의 미분양주택은 전달(178가구)보다 30.9% 감소한 123가구였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서울의 미분양 123가구의 위치는 서초구와 강동구, 광진구에 몰려있다고 전했다.

서초구(16가구)와 강동구(13가구)의 경우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다.

나머지 94가구의 경우 서울 광진구 대림산업 'e편한세상 광진 그랜드파크'의 미분양 물량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광진구의 미분양 물량이 해소되면서 6월 서울의 미분양 물량이 급감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서울의 경우 전통적으로 미분양 물량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울의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12월 말에는 27가구에 불과했다.

지방은 5만2097가구로 전월(5만2523가구)보다 0.8%(426가구) 줄었다.

규모별로 미분양 물량을 살펴보면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지난달(5782가구) 대비 3.7%(214가구) 감소한 5568가구로 집계됐다.

전용 85㎡ 이하는 지난달(5만6959가구)보다 2.1%(1178가구) 증가한 5만8137가구였다.

한편 6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3만6440가구로 1년 전보다 17.7% 줄었다. 주택 착공은 4만2055가구로 1년 전에 비해 17.8% 증가했다. 준공은 5만1730가구로 3.7% 줄었다. 6월 분양 실적은 3만2635가구로 14.5% 감소했다.

ck7024@fnnews.com 홍창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