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길섶에서] 왜란/박록삼 논설위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픈 역사를 다시 끄집어내 기억하는 것은 힘겨운 일이다. 최근 종영한 TV 드라마 ‘녹두꽃’을 끝까지 보게 된 것은 오로지 아들 덕이었다. 2~3년 전부터 역사에 부쩍 관심이 커진 초등 6학년 아들은 꼭 봐야 할 드라마라면서 두어 달 동안 금, 토요일 저녁이면 TV 앞으로 잡아끌었다. 술자리 약속은 최대한 줄이거나 서둘러 마쳐야 했다. 역사책 등에서 익히 본 뻔한 내용이려니 하며 시작했지만 마지막 회가 끝나자 나도 모르게 물개박수를 쳤다. 2만명에 가까운 처참한 죽음이 끊이지 않던 우금치 전투의 학살 장면에서는 가슴이 쿵쾅거리고 눈시울이 붉어짐을 참지 못했다. 농민군이라는 이름으로 통칭된 이들을 입체적으로 되살려낸 제작진의 노고는 감탄스러웠다.

우리네 역사 속 ‘왜란’(倭亂)이란 이름이 붙은 사건은 1592년 임진왜란 딱 하나였다. 하지만 이 드라마에서는 1894년 일본군의 경복궁 침탈 사건을 가리켜 ‘갑오왜란’이라 불렀다. 학계의 소수 주장을 전면에 쓴 것이다. 또 많은 누리꾼들은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을 ‘기해왜란’이라 부르고 있다. 자발적으로 일본기업, 일본제품 리스트를 만들어 불매운동을 제안하고 실천하는 이유다. 위기감은 125년 전 갑오농민전쟁, 427년 전 임진왜란과 다르지 않은 듯하다.

youngtan@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