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전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전신) 의원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두언 전 새누리당 의원이 16일 서울 홍은동 자택 인근 공원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 전 의원이 스스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고인은 이날 오후 자택에 유서를 남겨놓았다고 한다.
경찰이 16일 오후 정두언 전 새누리당 의원(자유한국당 전신)이 숨진 채 발견된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한 야산 입구를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인은 ‘비운의 책사’로 알려져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당선에 기여한 핵심 참모였으나 권력의 정점에 있던 시기는 짧았다. 2008년 2월 대통령직 인수위 시절엔 모두 그와 연락하길 원했다. 청와대와 정부, 그해 4월 총선 공천 작업까지 관여한다고 알려져서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자 곧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대선 뒤처리 중 제일 크고 힘든 일이 (선거에서) ‘고생한 사람들’에 대한 처우 문제다. 한마디로 말하면 고통 그 자체다. 오죽하면 낙선한 측이 부럽다는 생각이 들까”고 썼다.
고인이 밀려난 전모는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그가 사정 당국자에게 이 전 대통령의 의혹 자료를 요구했다가 이 전 대통령이 뒤늦게 알고 질책한 게 계기였다고 추정되고 있다.
고인은 이후 이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 등 권력 주변의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2008년 3월 “권력을 사유화한다”고 비판한 데 이어 이상득 전 의원의 불출마와 2선 후퇴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른바 ‘55인 파동’이었다. 이 때문에 이 전 대통령과는 더 멀어졌다. 고인은 이 무렵 사석에서 “젊은 의원들이 문제를 제기한다는 데 의리상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고 했다. 양쪽을 다 아는 인사들은 “2011년 무렵까진 그래도 이 전 대통령이 불러줄 것이란 기대가 있었던 듯하다”며 “어느 날인가 펑펑 울곤 마음을 정리했다고 들었다”고 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2주년을 맞은 2010년 2월 25일 낮 청와대에서 한나라당 당직자들과 오찬을 함께하기에 앞서 정두언의원과 악수하고 있다. [ 공동취재-KPPA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 이후 정치인으로서의 삶은 신산했다. 2012년엔 임석 전 솔로몬저축은행 회장에게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구속 수감됐다가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고 정치적으로 재기했지만 20대 총선에서 낙선했다.
고인은 경기고-서울대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1980년 행정고시에 합격해 국무총리실에서 주로 근무했다. 전형적 ‘모범생’형 이력이나 실상은 다채로웠다. 당구장 집 아들로 소년 시절 이미 당구가 200이었으며 경기고 재학 중엔 밴드의 보컬을 담당했다. 공무원이 된 지 얼마 안 됐을 때 분홍색 와이셔츠를 입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공무원 생활을 접고 탤런트가 되려 하다 가족들의 만류로 그만둔 적도 있다. 그는 정치인이 돼서도 음반을 내고 뮤직비디오에도 출연했다. 스스로 “가수”라고 소개하길 즐겼다.
정치에 입문한 건 2000년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총재의 권유였다. 2000년 4월 16대 총선에서 서울 서대문을에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원외 위원장 시절이던 2002년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해 있던 그를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하려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찾아오면서 둘의 인연이 시작됐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 서울 서대문을에서 당선된 이후 그곳에서 내리 3선 했다.
고인은 낙선 시절엔 MBN ‘판도라’ 등 종편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활발한 방송 활동을 했다. 16일 오전에도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한·일 관계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지난해 12월엔 서울 마포에 일식집을 열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고인과 가까운 사이인 김용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고인이 우울증을 앓았다고 전하며 “(우울증은) 정치를 하며 숙명처럼 지니는 것이다. 상태가 상당히 호전돼 식당도 하고 방송도 활발히 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고인 스스로 과거 한 차례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경험을 털어놓기도 했다. 한 친이계 인사는 “친이명박계와 결별한 뒤 정치적으로 고립되면서 마음고생이 심했던 것으로 안다. 특히 20대 총선에서 낙선한 후 정치적 무력감에 대해 힘들어했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고정애·유성운 기자 ockham@joongang.co.kr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