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가 전격 준비되고 있는 가운데 이뤄져 논란이 됐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아프리카 3개국 순방(6박 7일)’이 16일(현지 시간) 마무리됐다. 한국 외교장관으로는 처음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동부(에티오피아), 서부(가나), 남부(남아공)를 동시에 방문한 것이다. 외교부는 아프리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이 지역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를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래 세계경제의 성장 엔진 중 하나로 주목받는 아프리카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실제로 강 장관은 순방 중 열린 제1차 한-아프리카 경제포럼과 아프리카 지역 공관장 회의에서 올해 5월 출범한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협정(AfCFTA)으로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아프리카 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의 진출 지원을 강조했다. 사하라 이남의 서부 국가 중 가나를 순방 대상 국가로 선택한 배경에도 경제가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나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경제 성장률(8.8%)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나라다. 최근에는 AfCFTA 사무국을 유치해 화제가 됐다.
하지만 이런 모습 속에서도 한국 정부의 아프리카 경제에 대한 관심과 외연 확장 전략은 겉만 화려하고 내실은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실제 아프리카 경제 관련 업무를 하는 인력과 조직이 너무 부족하기 때문이다.
당장 아프리카 지역의 외교 공관에서 해당 국가와 지역에 대한 경제 업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공무원인 ‘재정경제관(재경관)’은 한 명도 없다. 재경관은 미국, 중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 중심으로 12개국 16개 공관에 배치돼 있는데 ‘너무 선진국 중심이다’는 비판이 오래전부터 제기되고 있다. ‘신남방 정책’의 핵심 지역인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지역에도 태국에만 배치돼 있어 논란이 됐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개발 업무를 담당하는 대표 국제기구인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에도 한국 정부에서 파견 나가 있는 인력은 2명뿐이다. 이마저도 지원자가 늘 부족한 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외교부에서도 아프리카 관련 업무는 한 개 과에서 전담한다. 그나마도 국 차원에서는 중동·아프리카국으로 묶여 있어 상대적으로 한국과 경제나 안보적으로 더 밀접한 중동 업무보다 후순위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은 구조다.
국내 지역학 전문가들 중에는 “한국 만큼 대외 의존도가 큰 나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이처럼 대충 다루는 경우도 드물 것”이라고 지적하는 이들이 많다.
제조업과 수출 기반 경제구조를 갖춘 한국은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을 더욱 키워야 한다. 그러나 고위 인사 방문과 행사 개최 같은 상징적인 경제협력에 비해 실질적인 노력은 너무도 부족한 것 같다. 강 장관의 이번 아프리카 3개국 순방을 계기로 아프리카에 대한 내실 있는 전략과 시스템을 세우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카이로=이세형 특파원 turtle@donga.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