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폼페이오 미 국무 “북미 협상 재개 가능성… 이란도 대화 나서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3일(현지시간) 이란과의 위기 국면 대응 협의차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방문길에 오르기 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에게 말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3일(현지시간) 이란과의 위기 국면 대응을 위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방문길에 올랐다. 외신은 폼페이오 장관이 이날 오후 중동 지역의 주요 동맹국인 사우디, UAE와 이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항공기 편으로 출발했다고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출발 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미 실무협상 재개 가능성을 언급하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가 “좋은 토대”가 되길 바란다고 말해 교착에 빠진 북미 관계의 전환점이 생길지 여부도 관심이 쏠린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반응을 토대로 한 ‘진정한 가능성’을 언급하며 미국은 당장 북한과 협상을 재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와 관련해 취재진에게 “(친서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북한과 중요한 논의를 이어가는 데 좋은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도 언급했다. 머지않아 실무협상을 재개할지에 대한 질문에도 “그러길 바란다”며 “북한의 발언을 보면 아마도 진정한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오전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만족을 표시했다면서 “흥미로운 내용을 심중히 생각해 볼 것”이라는 김 위원장의 발언을 공개했었다.

폼페이오 장관의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기대감을 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더불어 북한에 즉각적 협상재개를 위한 호응을 다시금 촉구한 것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친서를 보내고 백악관 대변인이 이를 확인한 후 협상을 총괄하는 책임자가 나선 셈이지만 폼페이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북미협상 재개의 실마리가 될 제안이 포함돼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한편 폼페이오 장관은 이란과도 대화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이란에 대해 어떻게 전략적으로 협력할 것인지, 어떻게 하면 세계 최대의 테러 지원국에 맞서 국제적 연합을 구축할 것인지에 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이란이 허위 정보를 퍼트리고 있다고 비판했지만 대화의 채널은 열어 놓을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했던 이란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 제의를 되풀이하면서 “우리는 전제 조건 없이 협상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그들이 진정으로 우리와 관계를 맺을 준비가 된 바로 그 순간에, 우리는 이 대화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그 날을 고대하고 있다”고 출국을 앞두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말했다.

김진욱 기자 kimjinuk@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