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결국 롯데가 탈중국 선구자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탈중국 선도, 세계적 다국적 기업들도 뒤따라

뉴스1

2017년 3월 중국 랴오님성 선양 롯데백화점 앞에서 중국인 10여 명이 사드를 지지하는 롯데는 중국을 떠나라는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웨이보 캡처) 2017.3.3/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최근 세계적 다국적 기업들이 잇따라 탈중국을 모색하면서 결국은 한국의 롯데가 탈중국의 선구자가 됐다고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가 21일 보도했다.

최근 애플은 아이폰 30%를 중국 이외에서 생산할 것을 검토하는 등 국제적 다국적 기업들이 탈중국을 서두르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불거지면서 중국산 제품에 대규모 관세가 부과됨에 따라 가격 경쟁력이 현격히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애플뿐만 아니라 다른 세계적 다국적기업들도 탈중국을 서두르고 있다.

그런데 탈중국의 원조는 한국의 기업들이다. 특히 롯데가 스타트를 끊었다. 롯데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중국에서 영업이 어려워지자 한국 기업 중 가장 먼저 탈중국을 선언하고 동남아시아에 진출했다.

롯데를 이어 대형 한국 화장품 및 기타 소매 업체들이 지난 2년간 중국 영업을 줄이거나 중국을 떠났다.

삼성전자 등 한국 굴지의 기업들도 그 뒤를 따랐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마지막 남은 혜주 공장에서 휴대폰 생산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삼성전자는 톈진과 선전 공장을 폐쇄했었다.

기아차는 최근 3곳의 중국 공장 중 하나를 임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중국에서 철수한 대신 동남아시아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LG 디스플레이와 한국 산업계의 거물인 포스코는 베트남에 수십억 달러의 신규 투자를 발표했다.

베트남 정부에 따르면 한국은 2018년 베트남에 625억 달러를 투자해 베트남 외국인직접투자(FDI) 1위를 기록했다.

미래애셋의 투자전략가인 피터 김은 "3~4 년 전만 해도 중국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가진 회사가 많았지만 지금은 절반 이상이 중국 비중을 줄이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으로 중국 경제 성장이 둔화하면서 탈중국 행렬도 가속화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매도 먼저 맞은 것이 낫다고 했다. 한국은 사드 사태로 일찍이 탈중국을 감행,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충격에 비교적 잘 대처하고 있다.

한국의 기업들은 사드 사태로 세계에서 가장 빨리 탈중국한 나라가 됐으며, 그들의 선택은 전세계를 선도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sinopark@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