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靑행정관, 국방부 '北 목선' 브리핑 감시…축소·누락 사전조율 의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와대 국가안보실 소속 해군 대령

국방부 기자실 익명 브리핑 이례적 참석

사안 설명한 당국자들도 靑행정관 인지 못해

국방부 움직임에 靑 영향 미쳤을 가능성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국방부 기자실에서 진행된 지난 15일 북한 목선 입항 관련 익명의 ‘백그라운드 브리핑’ 현장에 청와대 소속 행정관이 참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부처의 언론 설명에 청와대 행정관이 ‘염탐’ 수준으로 현장에 있다 가는건 이례적이다. 이에 따라 군의 축소·누락 발표가 청와대와 사전조율을 거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지난 17일 국방부 기자실에서 진행된 북한 목선 관련 익명의 브리핑 현장에 청와대 국가안보실 소속 해군 대령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행정관이 현역 군인 신분이기 때문에 국방부에 온 것 자체는 이상한 일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평소 청와대로 출근하는 그는 북한 목선 사건이 발생한 직후 2~3차례 국방부를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국방부 기자실 안에서 진행되는 익명 브리핑에 참석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당시 익명 브리핑에 참석한 다수의 고위급 군 당국자와 국방부 관계자들은 이 행정관의 참석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그는 기자실 구석에 서서 브리핑을 지켜보다 자리를 떴다. 국방부의 움직임에 청와대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앞서 해양경찰은 북한 목선의 주민 신고를 접수한 직후 군과 청와대 등에 해당 목선의 출항지와 항로, 발견 지점 등을 전파했다. 그러나 군 당국은 17일 언론에 대한 첫 설명에서 발견 지점을 ‘삼척항 인근’이라고 했고, 북한 목선이 표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파고가 높은 먼 바다에선 소형 목선을 잡아내기 어렵다며 군 경계작전은 이상이 없었다는 설명에 치중했다.

현재 군의 경계작전 실패에 더해 이후 대응 과정에서의 축소·누락 발표가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인데, 청와대와 사전 조율을 통한 은폐 의혹까지 제기되는 모양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20일 경계실패에 대한 책임 소재를 감추기 위해 사실관계를 은폐하려 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항은 보통 방파제, 부두 등 모든 것을 포함하는 말이다. 인근이라는 표현은 군에서 주로 많이 쓰는 용어”라며 “내용을 바꾸거나 축소하려 했거나 한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이데일리

북한 어선이 삼척항 내에 정박한 뒤 우리 주민과 대화하는 모습을 KBS가 보도한 사진이다. [출처=KBS·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