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심교 기자의 건강한 사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심전도 측정 중인 메모 워치. |
애플워치4와 메모 워치가 심전도를 측정하는 원리는 같다. 심전도를 기록·저장하고 기록된 것을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는 기능도 비슷하다. 하지만 사용 목적이 다르다. 애플워치4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정상적인 심전도를 수집하는 반면, 메모 워치는 심장 질환자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활용된다.
의료기기로 승인 받은 메모 워치는 고대 안암병원에서 향후 2년간 환자 2000명 이내에 한해 시범 가동한다. 환자의 심전도 정보가 스마트폰에 그래프로 나타나고 원격으로 의사에게 실시간 전달된다. 의사는 전송 받은 데이터를 보고 정기적으로 피드백할 예정이다. 병원 밖(원격)에 있어도 환자의 심전도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해 언제, 어디서든 의사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의사는 데이터를 보고 ‘지금 병원으로 급히 와야 한다’ 또는 ‘안정을 먼저 취하라’ 같은 안내를 환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단 이런 모니터링 자체가 현시점에선 의사의 진단·처방으로 이어지진 못한다. 미국·일본·중국 등과 달리 우리나라에선 현행법상 원격 의료 중 ‘원격 모니터링’이 합법과 불법의 경계에 있는데다 ‘원격 진료’는 불법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ICT가 의료기기에 접목되면서 풀어야 할 규제 더미가 산적해 있다. 난제가 해결되면 원격 의료 시대가 열어갈 장밋빛 미래를 기대할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충북 오송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식에서 “향후 5년간 2조원 이상을 바이오헬스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발표된 정부의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전략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 등 신기술 사용을 촉진해 의사의 진료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로 했다.
스마트폰에 뜬 심전도 그래프. [사진 휴이노] |
정심교 기자 simkyo@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