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성동조선 3차 매각도 무산…한 때 8위 조선사 청산 위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안정준 기자, 변휘 기자] [(종합)투자자 자금력 등 증빙서류 미비로 본입찰 유찰…청산 가능성 높아져]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법정관리 중인 성동조선해양의 세 번째 매각 본입찰이 무산됐다. 이제 법원이 정한 회생계획안 가결 기한까지 또 다시 원매자를 찾을 시간이 없다. 한때 세계 8위 조선소였던 성동조선은 청산 절차를 밟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13일 금융권과 조선업계에 따르면 이날 창원지법 파산부는 성동조선 3차 매각 본입찰 유찰을 결정했다.

예비입찰에 참여했던 3개 투자자 모두 이날 본입찰 인수제안서를 접수했다. 하지만, 법원은 이들 모두 자금력 등에 대한 증빙 서류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성동조선의 매각 시도는 이번이 세 번째였다. 지난해 4월 회생절차에 돌입한 뒤 연내 M&A를 목표로 세웠지만, 작년 10월 1차 매각 당시에는 인수를 원하는 곳이 없었다.

올해 2월 2차 매각에서는 국내외 3개 컨소시엄이 응찰했지만 매각 가격으로 추산된 약 3000억원의 자금 조달 능력을 입증하지 못해 무산됐다. 3차 매각 무산은 2차 때와 구조적으로 같은 셈이다. 성동조선의 주력 선종인 중형 탱커 시황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해 투자 모집이 녹록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3차 매각 무산으로 성동조선은 청산 위기에 내몰리게 됐다. 법원의 회생계획안 가결기간이 오는 10월 18일인 것을 고려하면, 다시 매각을 추진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성동조선은 더 이상 버텨낼 자금 여력도 부족한 상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유지비 등을 감안하면 3분기까지가 한계"라고 말했다. 성동조선은 유지비로만 매달 20억원 이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법원이 청산을 결정하게 되면 법원은 파산관제인을 선임하고 청산 과정에서 매각을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최소 매각가격 기준도 없어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매각 가능한 자산과 설비 등을 쪼개서 매각할 수도 있다. 회생 절차에서의 매각이 회사 동일성을 유지한 채 최소매각가격을 기준으로 진행된 것과 차이가 있다.

한때 세계 8위 규모를 자랑했던 성동조선해양의 내리막길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 시작됐다. 해운사들의 선박 발주가 급격히 줄고 주요 제품인 중형급 탱커, 벌크선 등은 정부 지원을 받는 중국 조선업체의 거센 추격을 받았다. 경영난에 2010년 창업주(정홍준)가 경영권을 포기하고 같은 해 4월 채권단과 경영정상화 계획 이행 약정(자율협약)을 체결했다.

한 조선 업계 관계자는 "이번 매각도 무산되면서 지역의 위기감도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성동조선은 한때 통영에서 고용인력 1만명 가량을 책임졌지만 지금은 본사 직원 800여명만 남은 상태로 야드 관리 직원 등 100여명만 출근 중이다.

안정준 기자 7up@mt.co.kr, 변휘 기자 hynews@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