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3 (목)

더위사냥 보조에서 필수품으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도 폭염(暴炎)이다. 가전 업계에서는 지난 2년간 연간 250만대씩 팔린 사상 최대 에어컨 판매 행진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본다. 특히 올해는 스탠드·벽걸이 같은 기존 에어컨 못지않게 보조 냉방가전에 대한 관심도 높다. 에어컨과 함께 쓰면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데다, 설치가 편리하고 가격도 저렴해 1인 가구에는 '메인 에어컨' 역할을 톡톡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창문형 에어컨, 이동식 에어컨과 서큘레이터, 탁상용·휴대용 선풍기 등이 대표적. 이 시장은 기존 에어컨 업계를 장악한 대기업 대신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이 활발하게 뛰고 있다. 전자상거래 업체 위메프가 지난달 말 일주일간(5월20~26일) 판매량을 조사해보니 창문형 에어컨과 이동식 에어컨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판매량이 각각 52배, 7배 늘었다.

가전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있으면 좋은' 보조 기기였는데, 폭염이 이어지면서 필수 제품이란 인식이 생기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실외기 필요 없는 창문형·이동식 에어컨

창문형·이동식 에어컨은 기존 에어컨의 단점을 보완한 틈새 가전이다. 실외기를 따로 둘 필요가 없고, 전문 설치 기사를 부를 필요 없이 고객 혼자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 최대 강점이다. 가격도 50만~70만원대로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중소 가전업체 파세코는 지난달 출시한 6평짜리 창문형 에어컨이 예상 밖의 판매 호조를 보여 최근 생산 설비를 2배로 늘렸다. 6평짜리 벽걸이 에어컨 실외기에 들어가는 부품과 냉매(冷媒)를 제품에 탑재해 일체형으로 만든 것이다. 창문을 살짝 열어 고정형 틀을 끼우고 제품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고객 스스로 설치가 가능하다. 파세코 관계자는 "벽에 구멍을 내거나 실외기 설치가 부담스러운 전셋집, 원룸에 최적화한 제품"이라며 "지난달 27일부터 홈쇼핑 판매를 시작한 이후 하루 평균 1000대 이상씩 팔리고 있다"고 했다. 이 덕분에 지난달 초 6300원대였던 주가도 현재 1만1000원을 넘어섰다. 이 밖에 나우이엘·대유위니아·센추리 등 냉난방 전문 기업도 창문형 에어컨을 판매하고 있다.

이동식 에어컨 역시 냉매가 내장돼 있어 별도의 실외기가 필요 없다. 창문형과 달리 마치 제습기·공기청정기처럼 바닥에 바퀴가 달려 있어 위치를 옮길 수 있다. 이동식 에어컨 국내 1위는 중견 가전업체 캐리어에어컨이다. 올해 신제품은 냉난방 기능을 동시에 갖춰 여름에는 냉방기, 겨울에는 보조 난방기로 활용할 수 있다. 캐리어에어컨 관계자는 "2017년 처음 제품을 출시했는데 매년 판매량이 30%씩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창문형·이동식 에어컨은 실외기가 내장된 만큼 소음은 기존 에어컨보다 크다. 또 이동식의 경우, 뜨거운 바람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배기(排氣) 호스를 창문과 연결하기 때문에 이동이 생각만큼 자유롭진 않다.

서큘레이터·탁상용 선풍기도 인기

에어컨의 냉기(冷氣)를 멀리까지 보내주는 서큘레이터도 여름철 대표 가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주변 공기를 빨아들여 앞으로 보내준다는 원리는 선풍기와 동일하다. 다만 선풍기처럼 바람을 2~3m 앞에 뿌려주는 대신 20m 이상 뻗어나가는 직진 바람으로 집 안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전 판매점 롯데하이마트는 선풍기 품목군에서 서큘레이터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7년 7%에서 올해는 20%로 커졌다고 밝혔다. 손기홍 생활가전팀장은 "서큘레이터가 국내에 알려진 것은 2010년 전후로, 폭염이 본격화한 2017년부터 시장이 커졌다"고 했다. 현재 시장에는 신일·보국전자·보네이도 등 국내외 50여 종의 제품이 나와 있다. 올해는 기존 제품보다 목 길이가 길어진 스탠드형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방바닥에 앉는 좌식(坐式)보다 소파·의자를 이용하는 입식(立式) 문화가 점차 보편화된 영향이다.

'여름철 반짝 상품' 정도로 여겨졌던 휴대용 무선 선풍기도 점차 어엿한 1인 소형 가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무채색의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에 상하좌우 회전, 4단계 풍속(風速), 10dB(데시벨)대의 저소음, 4000~5000mAh의 대용량 배터리, 서큘레이터 기능까지 갖출 만큼 성능이 진화하고 있다. 국내 중소업체인 오난코리아·프롬비가 KC 안전인증을 획득한 2만~4만원대 제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박순찬 기자(ideachan@chosun.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